2007년~현재/시 사2018. 12. 22. 19:28

오전에는 일본에서 오신 지인을 만나 차 한 잔을 나눴다. 내년에 일본에서 개최될 3·1평화운동 100주년 행사 소식 및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눈 후 헤어지고 돌아오는 길, 두 개의 단상이 꼬리를 물듯 지나간다. 
 
하나, 국가 간 공생과 평화란 어떤 경로를 통해 만들어지는 것일까? 단적으로, 한·일관계의 미래상이 그렇다. 과거 김대중 국민의 정부시절 일본 오부치 게이조(小渕恵三) 총리와 함께 ‘21세기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을 주창했던 때가 있었다. 그러고 보니 올해로 20주년이 된다. 1998년 10월에 채택한 합의문이니 말이다. 
 
그 당시 쌍수를 들어 환영을 하고, 공감을 표하기는 했는데 묘한 의문 또한 가시지를 않았다. 묘한 의문이라고 표현한 이유는 그 실현 방안이 참 막연하다 싶었기 때문이다.  
 
지금 기억으로는 ‘셔틀외교 정례화’, ‘청소년 교류 확대’, ‘대북(한) 공조’ 등이었던 것 같다. 과연 그렇게 하면 한·일관계가 파트너십으로 나아갈 수 있을까? 선언적 의미 이외에 뭐가 있을까? 다소 심경이 복잡했던 것 같다. 첫술에 배부를 수 없음은 자명한 이치다. 아마도 그것을 거스르는 나의 조급증 탓에 더 애가 달았는지도 모르겠다. 어쨌든 그 또한 오부치 총리의 급작스런 사망으로 인해 큰 진전을 보지는 못했다. 

 
둘, 2005년쯤에 책 한 권을 번역했다. 좋은 책이라서 한국에도 소개를 해야겠다는 생각 외에 딱히 언급할 내용이 없어, 역자 서문도 짤막하게 썼다. ‘한·일시민연대를 부활하자’, ‘한국의 민주주의를 일본에 수출하자’... 뭐 대충 그런 내용이었던 같다. 
 
한·일 월드컵 4강 신화와 노무현 돌풍(개미들의 반란)이 거세게 휩쓸고 지나간 후였다. 일본생활에서 한국인이라는 사실이 자랑스럽고, 당당하고, 떳떳했던 그런 시절이었다. 아마도, 그 영향 때문에 다소 자기만족적인 그런 역자 서문을 썼지 싶다. 
 
이후, 퇴행적으로 펼쳐지는 한국의 정치 상황들 앞에서 나는 정말 고개를 들 수가 없었다. 다시 수구세력들은 득세를 했고, 나라는 거꾸로 가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오늘, 15년 지기 지인 분을 만나 대화를 나누다 보니, 내 생의 지나간 과거 어디쯤엔가 있을 법했던 위 두 가지 역사들이 사실은 종결형이 아니라 현재진행형으로 내 삶에 껌딱지처럼 달라붙어 있더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 지인 분께서 대충 다음과 같은 말씀을 하셨다.  
 
내년이 3·1운동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새로운 한·일관계의 뿌리는 바로 3·1운동에서 찾아야만 한다. 왜냐하면, 한국 근대사 역시 3·1운동을 떼어 놓고 생각할 수 없기 때문에 그렇다. 3·1운동이 한국 근대민주주의의 씨앗이었다면, 이를 모태로 87년 민주화항쟁이라는 나무가 자랐고, 그 나무 위에 김대중 민주정부로의 정권교체라는 가지가 나왔으며, 그 가지에서 촛불혁명이라는 시민민주주의의 찬란한 잎이 탄생했기 때문이다. 이 도도한 민주주의의 물줄기를 일본으로 흐르게 하여, 일본인들이 보고 배우게 해야 한다. 그리고 이는 일본인인 나만의 몫이 아니라 일본과 한국의 시민들이 함께 해야 한다. 그러자면 서로의 연대가 다시금 필요하다.” 그런 말씀이셨다. 
 
물론, 나 또한 강하게 공감했다.  
 
“맞습니다. 한·일관계, 아니 동아시아 역사에서 3·1평화운동은 단지 대한의 독립만을 위한 저항(즉, 반일운동)이 아니었습니다. 동아시아의 평화를 위한 저항운동 이었습니다. 우리도 3·1독립운동을 3·1평화운동으로 바꿔 불러야 합니다. 일본 국민들이 이 부분을 제대로 인식할 수 있다면, 일본사회 내에서 3·1평화운동이 갖는 의의가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대한독립 만세'를 ‘동아시아 평화 만세’로 이해하고 받아드려야 합니다. 그렇게 될 때, 역사왜곡도 과거사에 대한 부정도 없는, 한·일관계가 비로소 새로운 단계로 진입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나아가 그것이 동아시아 평화까지를 견인해 내는 힘찬 동력이 될 것입니다.” 

 
세계는 지금 무한 경쟁, 패권 전쟁 중이다. 그 와중에 한반도는 시대에 역행(?)하여 평화체제를 구축해 보겠다고 몸부림치고 있다. 경쟁과 분열이 아니라 평화와 공생으로 가자고 발 벗고 나서고 있다. 분단의 장벽을 걷어내고 끊어진 허리를 잇자고 손을 맞잡고 있다. 그러니 그게 두려운 일본이다. 
 
그래서다. 이쯤에서 우리는 믿음(신뢰)으로 화답해야 한다. 평화체제 한반도가 주변국(일본)에게 위협이 아닌 평화임을, 경쟁과 전쟁이 아닌 화해와 상생의 길임을 적극 알리고 상호 공감해야 한다. 한·일시민연대가 지향해야 할 목표가 있다면, 바로 이것일 것이다. 
 
동아시아의 평화는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통해 시작되고 또한 그로 인해 완성된다고 하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상호 신뢰를 쌓아 가는 일, 새로운 한·일시민연대가 가야만 할 길이다.



▲ 3·1평화운동 100주년 기념행사 팜플렛


Posted by 강동완(국제정치학 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