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현재/시 사2013. 8. 15. 13:10

오늘은 광복절이자, 패전의 날이자, 승전의 날입니다. 누구에게는 승리가 누구에게는 광복이 되었고, 또 누구에게는 패전이 되었습니다.

 

참으로 얄궂은 역사의 아이러니라 아니할 수 없습니다. 이렇듯 주체가 서로 다르다보니 역사의 실타래는 제대로 풀리지 못하고 꼬일 대로 꼬인 채, 지금 여기까지 와 있습니다.

 

너무나 가슴 아픈 일이기는 합니다만, 더욱 한심스러운 것은 이런 역사적 사실을 직접 목도하고서도 정신 차리지 못하고 있는 오늘 우리의 현실입니다.

 

2001년으로 기억이 됩니다. 그해 8월 15일. 바로 오늘이지요. 뭐, 일본이라고 해서 다 전쟁광들만 사는 곳이 아닙니다. 마찬가지로 오늘을 다들 패전의 날로 인식하는 것만도 아닙니다.

 

다시는 불행한 전쟁의 역사를 만들지 말자는 제대로 된 생각을 갖고 있는 분들도 일본 인구의 반 이상은 됩니다.

 

그날, 저는 아는 선배와 의기투합해 달랑 둘이서 200명 남짓한 '평화유족회' 회원분들의 거리행진에 함께 했었습니다.

 

지금 기억으로는 도쿄 요츠야)역 근처에서 간단하게 반전평화 집회를 한 후, 이곳을 출발해 야스쿠니(靖国) 신사까지 약 2km 정도를 걸었던 것으로 생각이 드는군요.

 

목에는 커다란 샌드위치 판넬을 걸고 - 앞뒤로 안티조선 및 평화염원 메시지를 담은 사진과 글을 장식 그 행렬 중간쯤에서 함께 했습니다. 국내의 친일문제와 일본의 침략전쟁을 동시에 비판하고자 하는 의미에서 그 판넬을 목에 건 채 함께 행진 했습니다. 그때만 해도 참 열혈 청년이었습니다.^^

 

사진이라도 한 장 첨부하고 싶은데, 워낙 오랜 시간이 지나서 인지 그때 그 모습을 담은 사진은 도저히 찾을 수가 없어 아쉽습니다. 다만 주변에서 시위 중인 일본 우익을 찍은 사진 몇 장이 남아 있더군요.

 

위에 있는 사진에 보시면 버스에 일장기와 현수막을 걸어 놓고 우익 사상을 전파하고 있는 모습이 담긴 사진이 아마 그때 야스쿠니 주변에서 찍은 것으로 보입니다.

 

敬神尊皇(경신존황)이라는 글자가 눈에 띕니다. 저게 바로 일본 우익의 중심 사상이지요. '신을 공경하고 일본왕의 가문인 황실을 높이 받든다'는 의미인데, 저기서 말하는 신이란 불교도 기독교도 또는 여타의 다른 종교의 신도 아닌 일본만의 독특한 신도로서의 신을 뜻하는 것으로 신사와 연결 지어 생각해 보면 이해가 쉬울 것입니다. 그리고 일본왕인 천황이 저들 사고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아무튼, 그날 야스쿠니 신사 주변은 온통 일본 군복과 일장기, 그리고 욱일승천기 일색이었던 것 같습니다. 특히, 젊은 청년들이 무리를 지어 옛 일본군 복장을 하고 행진하는 모습에서 저는 잠시 어안이 벙벙했습니다. 한심스럽지요. 그게 어떤 의미를 지닌지도 모른 채, 저러고들 있을 것을 생각하니 말입니다.

 

더는 오래 있고 싶지 않아 바로 야스쿠니 신사를 나오고 말았습니다. 그리고 몇 년이 흐른 어느 날, 아는 일본 지인과 함께 야스쿠니를 다시 방문해 제대로 둘러 볼 기회를 가졌습니다. 그 방문기는 이곳을 클릭하시면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오늘, 민주당 국회의원 일행이 야스쿠니를 찾았더군요. 잘한 일입니다. 더럽고 냄새난다고 해서 모두들 피하기만 해서는, 길거리의 오물은 절대 치워지지 않습니다. 대청소라도 할라치면 내 몸 또한 더럽혀져야 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이치입니다. 한일관계도 그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게 제 개인적인 소신입니다.

 

그 누가, 아무리, 그럴듯한 명분을 내세운다 하더라도 전쟁은 분명 죄악입니다. 전쟁 없는 세상에서 살고 싶다는 열망이 상식이 되는 그런 날을, 해방의 날인 오늘 간절히 소망해 봅니다.

 

 

노무현 대통령님을 야스쿠니신사 유슈칸(遊就館)에 초대 합니다

 

☞ 야스쿠니 A급 전범 분사론

 

☞ 주일미군을 동아시아조약기구(EATO) 군(軍)으로 대체하자

 

 

Posted by 강동완(국제정치학 박사)
2007년~현재/시 사2012. 10. 29. 11:52

 

요즘 철없는 꼴통 일본인 몇몇이 말뚝이라는 오물을 뿌리고 다녀 한국은 물론 미국까지 오물 냄새가 진동을 하고 있다고 한다.

 

저것들 저런 짓거리가 다 내 머리에는 든 게 없소 하며 대내외적으로 광고하는 꼴에 지나지 않지만, 저런 무뇌아들을 조종하는 세력의 실체는 그리 간단치가 않다.

 

일본은 한 때 세계를 호령했던 경험을 갖고 있다. 미국이라는 최강대국과 맞짱까지 떠본 유일한 나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고로, 저들의 인식 이면에 자리하고 있는 과거의 유산은 '무한 영광'과 함께 '아쉬움'이다.

 

그런데 더 통탄할 일은 옛 영광을 영광이라 부르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재현할 길 또한 막혀 있다는 사실이다. 일본은 헌법을 통하여 군대의 보유와 전쟁을 포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저들은 우리가 그토록 반성하라고 하는 과거사를 미화라는 방식으로 재해석하려는 것이다.

 

일본 국민들이 지난 과거사를 영광으로 인식해야만 비로소 헌법 개정을 통한 군대의 보유와 이를 통한 군국주의의 부활이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현재 진행 중에 있는 주변국과의 영토분쟁 - 독도문제도 포함 - 과 역사교과서 왜곡, 북한 및 중국과의 갈등구조, 야스쿠니 신사 참배 등 일련의 작업들이 모두 일본 사회에 보수 우익의 이념을 전파하기 위한 계산된 노력이라는 사실이다.

 

물론, 아직 헌법 개정이라는 최종의 단계에 까지 이르지는 못했지만 불가능할 듯 보였던 자위대의 해외파병을 넘어 유사법제의 제정으로 타국과의 교전에 한 발 다가서게 되었다.

 

게다가 이번에 자민당의 총재가 된 전 일본 수상 아베씨는 아주 대 놓고 자기의 목표는 헌법개정이라고 말하고 있지 않나? 그렇게 되는 날을 위해 저들은 쉬지 않고 주변국과의 갈등을 유발시켜 애국주의를 선동하고, 선량한 국민을 현혹할 것이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강력한 일본 · 굳건한 미일동맹 체제를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목표 역시 명백하다. 바로, 미일동맹의 강화를 통해 세계제패의 투톱체제를 만들려고 하는 것이다. 그 길을 위해서라면 미국의 하나의 주(州) 또는 미국의 기지국가가 된들 아쉬울 게 없다는 생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봐도 그다지 틀리지 않는다.

 

중국과 일본, 그리고 미국의 힘이 응집되고 있는 동북아의 정세는 마치 블랙홀과도 같다고 볼 수 있다. 자칫 그 속으로 빨려 들어가 형체도 없이 사라질 수도 있는 아주 위험천만한 조건들이 형성되어지고 있는 것이 작금의 동북아 정세다. 그 블랙홀 속으로 빨려 들어가지 않고, 독자적 세력으로서 우리의 자존을 지켜내기 위해 한반도의 평화체제 구축 및 남북의 화해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주변국인 일본의 의도를 파악하고 거기에 맞서 효율적인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 역시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우리의 과제라 하겠다.

 

이는 정부의 역할과 민간 시민단체 차원에서의 대응으로 이원화해서 접근할 필요가 있는데, 무엇보다도 정부의 정확한 상황 판단과 정세 파악 능력이 중요하다. 또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협력이 시민사회단체의 활동에 큰 힘이 될 것이다.

 

오늘 뉴스를 보니, 모대학의 교수와 학생·일본유학생들로 구성된 한국인들이 일본 대학의 학생게시판과 식당·기숙사 등 40여 곳에 위안부 문제의 사죄를 촉구하는 포스터를 붙인 모양이다. 그리고 그게 뉴스화 되었다.

 

속은 시원하다. 후련하다. 그런데 남는 것은 뭔가? 그런 포스터 붙인다고 해서, 그 포스터를 봤다고 해서 일본 학생들이 위안부 문제를 제대로 보고 판단할 것으로 생각을 하는가? 글쎄다. 사람마다 생각의 차이는 있을 수 있다. 그래서 그게 옳은 행위인지 아닌지에 대하여 더 이상 길게 논하고 싶지는 않다. 하지만 "꼭 그런 방법 밖에는 없었을까?" 하는 아쉬움은 남는다.

 

일본인의 말뜩테러 문제가 처음 불거졌을 때, 일본 시민단체 회원 분께서는 이런 말씀을 하셨다. "이런 행위들로 인해 한국과의 교류와 연대에 주목하고 있는 시민단체들의 입지가 줄어든다. 하지만 저들이 획책하고 있는 목표와 우리의 목표가 다르니 답답할 뿐이다"

 

가슴 조여 가며 남의 눈에 띌새라 조심스레 포스터를 붙였을 학생들을 포함한 관계자 분들께는 미안한 얘기지만, 이런 이벤트성 기획보다 더 합리적이며 상호 협력 가능한 일들도 충분히 있었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크다.

 

오물은 무서워서 피하지 않는다. 더러우니까 피하지. 단, 그 오물을 치우기 위해서는 내 손에도 오물을 묻혀야 하는 수고 또한 마다해서는 안 된다.

 

 

 

 

Posted by 강동완(국제정치학 박사)
2007년~현재/시 사2011. 7. 14. 21:42

역지사지란 말이 있습니다. 상대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고 이해하려고 노력하라는 의미를 갖고 있는 고사성어 입니다. 좋은 말입니다만, 개인적인 욕심이나 사심이 개입되는 순간 역지사지의 정신은 무너져 버리게 됩니다.

 

결국은 신뢰와 배려라는 기본적인 바탕이 조성된 위에서나 가능할 것이라는 말씀입니다. 누군가 배려는 인간사회를 소통시키는 연결 고리라고 표현하더군요. 이게 비단 인간사회 뿐이겠습니까? 국제간 관계에서도 신뢰와 배려는 외교의 기본이라 할 수 있을 겁니다. 힘만 믿고 군사력으로 밀어붙이는 몇몇 나라는 빼고요.

 

쭉 돌이켜 보면, 이 정부 들어 크게 문제가 되었던 한·일간 갈등은 찾아보기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양국간 신뢰와 배려가 남다르기 때문일까요? 잘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지난 노무현 참여정부를 보자면 한·일간에 참으로 많은 일들이 있었습니다. 지나간 과거사에 대한 추궁문제에서부터 시작해서 정상외교를 한다 못한다에 이르기까지 정말 갈등과 갈등의 연속이었다는 말이 맞을 정도로 한시도 조용한 날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물론, 저는 개인적으로 그렇게 진행되어 가는 것이 옳다고 봤습니다. 항상 수세적 입장에서 일본의 교과서 왜곡이나 독도 망발, 야스쿠니 참배 문제가 불거졌을 때만 잠깐 시끄러웠다가 바로 식어버리고마는 방식으로는 문제해결이 요원하다고 봤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들보다 먼저 우리가 잘못된 역사교과서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지적해서 바로 기술하고, 독도의 영유권을 공고히 하고, 야스쿠니 신사가 갖고 있는 태생적 한계가 무엇인지를 우리 대통령과 관료 그리고 정치인과 지식인들이 시도 때도 없이 문제제기 하는 즉, 공세적 입장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게 제 생각이었고 이는 지금도 변함이 없습니다.

 

그런 면에서 故 노무현 대통령님께서는 한일관계에서 만큼은 양보가 없으셨던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주 강경하고 당당하게 갈등을 만든 후, 이를 손수 풀어가려는 의지를 곳곳에서 엿볼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때마다 일본의 언론과 일본 정부가 했던 모법 답안 같은 말이 있었습니다. 그런 노무현 대통령님의 의도가 떨어진 지지율을 만회하기 위한 국내용 쑈라는 주장이 그것이었습니다.

 

물론, 당시 이런 논리에 기름을 부어준 것이 일부 국내 보수 언론들이었습니다. 정치적 지향점이 다소 다르다고 해서 국익에 해가 되는 그릇된 주장마저 서슴지 않고 자행함으로써, 이 주장을 다시 일본정부와 언론이 역이용하며 마치 이게 진실인양 일본 국민들에게 선전되는 악순환을 경험하게 됩니다.

 

그래서 당시에는 한국 정부의 대일 강경정책은 대부분이 인기회복을 노리는 노무현 정부의 국내용 쑈로 치부되곤 했습니다. 게다가 당시 노무현 정부의 지지율 역시 바닥을 기고 있었기 때문에 이 논리는 그럴듯하게 포장될 수 있었습니다.

 

한일관계가 처음으로, 비로소 제대로 단추를 꿸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국내 여론이 받쳐주지 않으면서 실패로 끝나버리고만, 개인적으로 참 안타깝게 생각하는 지난 일 가운데 하나 입니다.

 

그런데 이제 일본 정부가 우리 정부와 언론으로부터 그들이 과거에 했던 그런 주장을 그대로 듣고 있으니 역사의 아이러니란 바로 이런 것을 두고 하는 말인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일본 외무성이 대한항공 비행기가 독도상공을 시험 비행했다는 것을 빌미로 대한항공 이용 자제령을 일본 공무원들에게 내렸다고 하는군요.

 

그러자 일부 우리나라 언론과 정부 관계자가 이러한 일본측 주장을 지지율이 떨어져 있는 칸 나오토 정부가 인기 회복을 위해 고육지책으로 내 놓은 일본 국내용 쑈라고 폄하(?)하고 나선 것입니다. 현재, 칸 나오토 내각 역시 지지율이 바닥에 찰싹 붙어 있거든요.

 

웃기는 이야기입니다만, 저는 우리의 이 주장은 맞다고 봅니다. 일본 외무성이 저러는 것은 일본 국내용 퍼포먼스 맞습니다. 왜냐하면, 저들은 1945년 패망 이후 지금까지 저런 식으로 여론을 호도하며 군국주의의 불씨를 살렸고 마침내는 군사대국으로 되돌아가버렸기 때문입니다.

 

북한 위협론, 주변국과의 영토분쟁, 역사왜곡이 저들이 저지른 우민화 · 우경화의 핵심 키워드였습니다. 저들에게 "뻥으로 흥한 자, 뻥으로 망한다"는 진리를 말해주고 싶은 밤입니다.


절반의 성공
내부의 적들
또 다시 악용 당하는 과거사
노무현 대통령을 야스쿠니신사 유슈칸(遊就館)에 초대 합니다
북한 때리기라면 일본 우익(니시오카類)도 대접한다?
납치문제, 냉정하게 접근하자
고이즈미의 내우외환
야스쿠니 A급 전범 분사론
우물 안 개구리가 되지 말아야
대일외교 제대로 가고 있나?
일본의 외교력 약화에 대한 우려?
과거사를 보는 한·일의 시각차
또 다시 불거진 교과서 왜곡
한·일관계가 꼬였다고? 그럼 더 꼬아라
고이즈미의 노림수는 日本위기론 확산
주일미군을 동아시아조약기구(EATO) 군(軍)으로 대체하자
과격 반일시위 즐기는 일본 우익
일본의 대북제재?
피랍일본인 사건이 美·日에게 주는 교훈
눈길을 끄는 뉴욕타임즈의 일본 비판
주변국에 대한 친근감이 떨어졌다구?
아베 신조(安倍晋三) 차기 총리론
일본과 사귀기



Posted by 강동완(국제정치학 박사)
2002년~2006년/시 사2010. 6. 19. 14:38

마침내 일본 중의원 해산 결정이 내려졌군요. 사실 저는 개인적으로 해산은 없다는 쪽에 무게를 두고 있었거든요. 왜냐하면 반대파들이 손들고 투항할 것으로 생각을 했는데, 반대파 역시 쎄게 나간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되면 탈당까지도 불사한다고 봐야지요.

규모가 문제가 되기는 하겠지만 탈당 후 살아 남아서 민주당과의 연합정부 구성을 생각하고 있겠지요. 이 사람들 소속만 여야로 나뉘어져 있지 거의 같은 색깔로 봐도 무방합니다.

 
어찌 되었든 앞으로의 일본 정국의 흐름 역시 재미있게 되었습니다. 과연 어찌 될까요? 자민당 1당 체제가 막을 내릴까요? 아니면 지속 가능하게 될까요?
 
우리 언론보도를 보니까 민주당으로 정권교체가 가능할 것으로 많이 들 예측을 하고 계시던데요. 물론 그것은 일본 언론의 영향을 받아서 그대로 인용을 하니까 그런 예측이 가능한 것이겠지요. 일본 언론들 역시 야당인 민주당이 제1당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측들을 하고 있으니까요. 심하게는 자민당이 현재보다 무려 100석 이상이나 적어질 것으로 분석들을 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정말 그렇게 쉽게 고미즈미 정권이 무너져 버릴까요? 아니 일본 신흥 우익세력(저는 이들을 어둠의 자식들이라고 표현을 합니다. 왜냐하면 이들 중 대다수가 자자손손 정치 세습자들인데, 과거 제국주의 추종세력의 후손들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당시 총리 및 대신 출신 자식들이 주축이 되어 있습니다)이 망해버릴까요?
 
사실 고이즈미가 정권을 잡은 이후 자민당의 역사는 권력투쟁의 역사였으며, 고이즈미 개혁은 반대파 제거의 수단이었음을 부인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자민당 내 최대 파벌이라던 하시모토파는 거의 초토화 되어 버렸지요. 그래도 자민당 내에서 비둘기파로 불리던 이들의 몰락으로 신흥 우익세력의 입지는 한층 강화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입지를 다진 이들 어둠의 자식들이 추구하는 게 미국 제일주의로 이들이 바로 주변국과의 갈등세력이요, 과거로의 회귀세력이며, 영토분쟁과 역사왜곡 지원세력이지요. 정말 걱정되는 것이 이들은 거의 40대~50대의 젊은 정치인들이 중심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할아버지와 아버지로부터 물려 받은 전전 혹은 전시 제국주의 사상을 그대로 답습한 채 이를 2005년 오늘에 이식시키고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 논의되고 있는 일본 헌법개정 논의와 군사대국화 움직임이 위험하다는 것입니다. 바로 이런 어둠의 자식들에 의해 준비되고 계획되고 있기 때문에 말입니다.
 
그리고 이번 우정 파동은 이들의 입지를 한층 강화시켜 줄 것이고, 이후 일본 정치가 이들의 손으로 확실하게 넘어오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바꿔 말하면 일본 정치의 세대교체가 된다는 말입니다. 나카소네 전 총리는 말할 것도 없고, 아마도 모리 전 총리까지도 교체 대상이 될 것으로 저는 판단합니다.

우정 파동이 결국은 고이즈미 최대 지지세력으로 알려졌던 모리파와의 결별로 이어지는 분위기 인데요. 고이즈미 총리를 설득하러 갔던 모리 전 총리가 회담 후에 기자들에게 이런 말까지 했더군요. 고이즈미는 ‘이상한 사람 이상이다’라고 말입니다.

 
아마도 고이즈미 측의 신흥 우익세력이 모리파와 갈라서기로 결심한 배경은 포스트 고이즈미 즉, 차기 총리 문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특히 몇 개월 전에 있었던 모리 전 총리의 발언이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나 싶은데요.

당시 모리 전 총리는 지방에서의 강연회에서 차기 총리로 유력시 되는 아베 자민당 간사장 대리와 관련해서 ‘아베군은 아직 이르다. 총리가 되려면 대신도 하고 해야 하는데, 아직 그런 경험도 없다’며 아베 간사장 대리에 대한 거부감을 피력했습니다. 이 발언으로 감정의 골이 깊어진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리고 국회 해산이라는 자폭성(?) 거사까지를 염두에 둔 게 아닌가 싶습니다.

 
의견이 분분하기는 했습니다만, 이번 우정산업 민영화 문제 역시 논점의 한가운데에 국민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오직 고이즈미 개혁으로만 치장하고 있었지요. 도로공단 민영화와 별반 다를 게 없이 정치적 의도가 강했다는 게 저의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결국 의도된 프로그램대로 진행되는 측면이 많다는 것입니다.
 
사실, 저는 우정 파동으로 인한 의회 해산 보다는 오히려 헌법개정을 위한 국민투표가 이들이 헤게모니를 장악하는 분기점으로 파악하고 있었는데요. 그만큼 우정산업 민영화는 중요한 이슈가 못 된다고 봤던 것입니다. 아무튼 그 시기가 좀 일찍 온 것 같습니다.

그러나 본질적인 흐름은 크게 변함이 없이 진행이 되겠지요. 중요한 것은 몇 명의 의원들이나 탈당대열에 동참할 것인가가 변수가 되겠지만, 공명당과의 선거협조 등을 고려한다면 그다지 많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몇 명이 되었든 반대파 의원들의 탈당과 함께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이 이시하라 도쿄도지사의 자민당 입당 또는 이시하라 신당 창당과 선거 후 자민당과의 연합정부 구상일 것입니다.

이시하라의 나이를 고려해 봤을 때 더 이상 시간을 끌기도 무리라는 생각입니다. 아마도 지금이 마지막 기회일 수 있습니다. 적어도 총리에 욕심이 있다면 말입니다. 그리고 지금과 같은 혼란한 시기에 이시하라 정도면 자민당 내분을 정리하고 국민적 인기를 등에 업은 채 유리한 국면으로 선거를 이끌 수 있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관측해 봅니다.

 
이것이 고이즈미 승리의 첫번째 프로젝트라면 두 번째는 북풍일 수 있습니다. 고이즈미 총리의 세 번째 평양 방문은 납치문제의 완전한 해결과 북일수교 정상화로 연결될 것 입니다. 북핵의 원만한 해결과 북풍은 혼미한 선거 국면을 일거에 고이즈미 세력에게 유리하게 만들 수 있는 핵폭풍급 이슈임에 틀림없습니다.

어쩌면 오는 15일 야스쿠니 신사 대신 평양을 방문하는 고이즈미 총리를 우리는 보게 될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11월에는 자민당 헌법 개정안이 만들어지고, 내년 상반기쯤에는 국민투표를 통한 보통국가 일본이 탄생하게 되지 않을까요?

 
문제는 이렇게 성공한 일본의 신흥 우익세력과 어떻게 상생의 동북아를 만들어 갈 것인가가 우리의 과제로 남게 된다는 사실입니다.


Posted by 강동완(국제정치학 박사)
2002년~2006년/시 사2010. 6. 19. 12:34

노무현 대통령은 외신 지국장 간담회에서 부산에서 열리는 APEC(아·태경제협력체) 정상회의 기간(18~19일) 중에 고이즈미 일본 총리와 만날 의사가 있음을 처음으로 밝혔다. 이는 고이즈미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로 촉발된 양국간의 갈등관계를 전향적으로 풀어보겠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노무현 대통령의 결단에 적극 지지를 보낸다. 기회가 있을 때마다 하는 이야기지만 일본이라는 나라와 아예 담 쌓고 살 생각이 아니라면 자주 만나는 것이 양국관계 및 우리의 국익에도 도움이 된다.
 
물론, 일본측의 도발적인 망발이나 망언, 망동 등이 심히 불쾌하기는 하나 역으로 상대방의 이러한 시대착오적인 구태가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공생에 대한 우리의 노력과 비교되면서 우리의 국제적 리더쉽은 한층 고양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성과들이 국내적으로는 민족적 자긍심을 드높여 패배주의와 자기혐오주의에 푹 빠져서 허우적 거리고 있는 수구 냉전세력의 입지를 약화시키는 순기능도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한편 일본 언론쪽에서도 노무현 대통령의 결단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고이즈미 총리 역시 이 소식을 전해 듣고는 ‘나는 언제나 만날 것을 희망하고 있다’라며 환영의 뜻을 내비쳤다.
 
사실 동북아시아에서의 일본의 일탈 문제는 일본이라고 하는 단일 국가만을 상정해 놔서는 절대로 풀리지 않는다는 사실을 제대로 볼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서 국제적 힘의 역학관계 속에서 바라봐야 한다는 의미이다. 이는 또한 해결의 실마리 역시 그만큼 복잡하게 꼬여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런 상황임을 망각하고 일본과의 관계라는 단선적인 접근만을 고집한 외교 정책을 강요한다면 양국 관계는 한 발짝도 앞으로 나아갈 수 없을 것이다.

고이즈미 총리의 등장 이후 새롭게 짜여지고 있는 일본의 신흥 우익세력의 면면을 보면 대체적으로 친미주의적 성향이 강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본 외교를 책임지고 있는 외무성 역시 비슷한 성향의 인물들로 재편된 것으로 보여지는데, 이는 친중파를 비롯한 아시아 외교 중시파의 후퇴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흐름은 미국과 일본의 정권 핵심쪽에서 공통적으로 만들어진 상황이기는 하지만, 다만 일본쪽은 그 몰락의 강도가 훨씬 크다는 점이 차이라면 차이일 것이다.
 
그러나 같은 친미파라고 해도 미국의 어느쪽 시그널과 주파수를 맞추느냐에 따라 정책이 달라질 수 있음 또한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위에서도 언급했던 바와 같이 아직 미국에는 중국과의 선린외교를 주장하는 세력이 엄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이는 부의 흐름이란 차원에서 재계쪽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들이 추구하고 있는 것은 미국에 의한 단독패권주의가 아니라 다극주의로 봐야 하지 않을까 싶다. 결국은 돈이 흐를 수 있는 쪽으로의 움직임을 가속화 시키는 것이라고 볼 때, 다극주의의 지향점은 미개발 대국들의 개발을 통한 패권의 분산이라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이러한 세계적 흐름의 한가운데에 일본 역시 자리하고 있다. 이 속에서 일본 정권 핵심의 친미주의자들이 받아 들이고 있는 시그널은 미 단독패권주의이며, 최근 이어지고 있는 일련의 우경화 분위기는 그에 대한 충실한 추종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일본 사회 일각에서는 이와 같은 일본 정권 핵심의 외줄타기식 외교 행태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도 높기는 하지만, 이런 의견들이 대세가 되기에는 아직은 역부족이다. 어쩌면 단독패권주의를 지향하는 미국의 몰락이 눈 앞으로 다가온 순간에나 대세로 작용할지도 모를 일이기도 하다. 그만큼 일본 정권 핵심의 의중은 지나치게 한쪽으로 쏠려있으며, 그 힘 또한 막강하다.
 
한·일 관계 역시 바로 이러한 국제적 역학관계 속에서 풀어나가야 하는 다국적 매듭 풀기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즉, 한·일 관계가 단순히 한·일 양국간의 관계만은 아니라는 말이다.
 
여기에 더해서 어제 나온 '북·일 국교정상화 협의 재개' 소식도 눈 여겨 볼 필요가 있다. 일본쪽에서는 지금이 북·일 국교정상화의 최대 적기임을 강조했을 것으로 보인다.
 
차기 총리로 아베 신조(安倍晋三) 같은 강경 우익인사가 거론되고 있는 상황에서 북·일 국교정상화에 상당한 의지를 보이고 있는 고이즈미가 총리로 있을 때 이 문제를 푸는 게 서로에게 유리할 것이라는 점을 들어서 말이다. 고이즈미 신임 내각의 면면들이 강경파들로 짜여져 있음이 이러한 논거에 설득력을 더해 준다.
 
자고로 결자해지라고 했다. 매듭도 묶은 쪽에서 푸는 게 맞다. 강경 우파로 행세하며 주변국과의 갈등 원인을 제공했던 아베 신조(安倍晋三) 관방장관과 아소 타로(麻生太郞) 외상이 적극 나설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 주기 위해서라도 이들과의 만남을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 어쩌면 이게 우리의 역할이자 업보인지도 모른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들을 통해 현재의 한·일간 셔틀 외교를 한국·북한·중국·일본 4국간 셔틀 외교로 확대 발전시켜야 한다. 그게 바로 동북아 균형자론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그래서다. 12월의 한·일간 셔틀 외교도 마다할 이유가 없다.



Posted by 강동완(국제정치학 박사)
2002년~2006년/시 사2010. 6. 19. 12:30

부산에서 노무현 대통령과 고이즈미 일본 총리의 정상회담이 있었다. 대체적으로 별다른 성과 없이 서로의 입장 차이만을 확인하는 자리였다는 것이 언론들의 주된 논지인 것 같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생각해 보면 이는 어쩌면 당연한 결과인지도 모른다. 무언가 새로운 화제거리를 갖고 만나는 정상회담이 아니었기 때문이기도 하거니와 지금까지 고이즈미 총리가 보여온 행적, 일본사회의 우경화 분위기로부터 유추해 보더라도 지금은 절대로 새로운 것이 태동할 시기가 아니라는 점에 의문의 여지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나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앞선 글에서도 누차에 걸쳐 강조했듯이 평화와 공생의 동북아 건설 즉, '동북아 균형자' 역할이라고 하는 대의에 우리 스스로가 발을 깊숙이 담그고 있음에서 찾아야 한다.
 
그래서다. 문제는 내용이다. 몇 시간 동안이나 얼굴을 맞대고 있었고, 어떤 분위기의 회담이었는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우리 입장에서는 아주 의미 있는 만남이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고 싶다.
 
노무현 대통령께서 무엇을 지적했고, 무엇을 주문했는지를 주의 깊게 봐야 한다. 노무현 대통령은 '우리 국민이 갖고 있는 생각을 일본 국민들에게 전하고 싶다'며 하신 말씀이 이것이다. '더 이상 일본측에 사과를 요구하지 않겠지만, 그렇다고 해도 일본의 그릇된 역사인식도 받아드릴 수 없다'고 분명하게 선을 그었다. 그리고 총리를 비롯한 일부 정치인들의 야스쿠니신사 참배는 '한국에 대한 도전'이라고도 했다. 더 이상 무슨 말이 필요한가?
 
참여정부 들어서 대일외교가 상당히 당당해졌음이 눈에 띄는 변화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아직도 다소 감정적인 대응이 눈에 거슬리기는 하지만 불행한 과거사를 가슴에 묻고 살아야 하는 우리 국민 감정상 이를 완벽하게 절제하기란 결코 쉽지 않은 문제이기도 하다. 그래도 좀 더 세련될 필요가 있다.

만남이 필요한 때는 주저하지 않고 만나고, 해야 될 이야기는 빠뜨리지 않고 하고 있다는 점에서 참여정부의 대일외교를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이는 과거 국민의 정부와 故오부치 일본 전 총리가 만들어 놓은 ‘새로운 한일관계’라는 틀이 전환의 계기가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당시에는 '새로운·미래지향적'이라는 다소 추상적인 개념으로서의 모호한 접근으로 제대로 자리를 잡지 못한 감이 있었다. 도대체 '새로운 한일관계'란 무엇을 말하는 것이고, 그렇게 만들어진 '새로운 한일관계'는 왜 좋은 것이며, 게다가 어떻게 하면 '새로운 한일관계'가 가능하게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국민적 이해 증진에 미흡했던 것도 사실이다.
 
한마디로 무조건 '좋은 게 좋은 것'이라는 오해를 불러올 수도 있는 접근 방법이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았다고 본다. 이것이 참여정부로 넘어오면서 변화를 보이게 되는데, 지나간 과거사를 거론하지 않겠다는 노무현 대통령의 선언과 함께 대일외교의 불투명성이 걷히면서 주도권 역시 손에 쥐게 되는 양상으로 변화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참여정부가 민주정부로서의 '정통성'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기도 했지만, 더 근본적인 이유는 과거사 문제와 대일외교를 분리해서 서로 다른 관점으로 접근하고자 하는 '인식의 전환'에 의해서 가능했다고 본다.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 문제로 인한 갈등이 엄존하고 있는 현실임에도 불구하고 외무장관 및 정상회담이 차질 없이 열리고 있음이 그 한 예가 된다.
 
과거사 문제가 한일 양국 관계의 발목을 잡고 있는 최대 현안이라는 점에서 본다면 이는 상당히 용기 있는 현명한 결단이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해서 비로소 새로운 한일관계·미래지향적 한일관계의 참 의미가 희미하게나마 시야에 들어오게 되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참여정부의 분리대응은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공생을 향한 우리정부의 열정에 '진정성'을 더해주고, 나아가 일본내 '평화·온건세력'의 입지를 넓혀주게 되어 이들의 자국내 세력 확보에도 유리하게 작용하게 될 것이라는 사실에는 두말이 필요 없다.
 
한편 노무현 대통령께서 고이즈미 일본 총리가 아닌 일본 국민들을 상대로 한국 정부의 입장을 분명하게 밝힌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본다. 이는 비록 얼굴을 맞대고 앉아 있는 상대는 고이즈미 총리지만, 노무현 대통령께서는 고이즈미 총리가 아니라 일본 국민 전체를 상대로 하고 싶으셨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즉, 고이즈미 총리를 상대로 놓고 1억 2천만 일본 국민을 설득하겠다는 계산으로 사료된다. 맞다. 그렇게 가야 한다. 그렇게 가다 보면 머지않아 일본 국민들 역시 웃음으로 화답해 올 것이다.



Posted by 강동완(국제정치학 박사)
2002년~2006년/일 상2010. 6. 19. 12:24

하나, 김치파동이 바다건너 일본에까지 전해져 말들이 많다. 텔레비전과 신문 주요 뉴스에서도 '기생충 김치가 일본에도 수입이 됐다'며, 우려 섞인 반응들이다.
 
내가 자주 가는 식당 주인은 김치찌개를 주문하자 기생충이 있다며 먹지 말란다. 그래서 당신들이 먹는 사시미(생선회)나 스시(초밥) 같은 날음식이나 날로 먹는 야채가 완벽하게 무균이라고 장담하기 힘들듯이 김치도 그런 것 아니겠냐고 하자 서로 웃고 넘어갔다.
 
우리나라 최대 포털이라고 하는 싸이트의 메인페이지에 한국의 '김치를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음식'이라고 했다는 어느 일본 네티즌에 관련한 글이 올라와 있다.
 
이런 것은 좀 지나치지 않나 싶다. 우리끼리 여담 삼아 할 수 있는 그런 이야기는 될 수 있을지는 몰라도 이게 한국 최대 포털의 메인페이지를 장식할 만한 그렇게 중차대한 뉴스는 결코 아니라고 보기 때문이다. 하물며 그런 주장을 하고 있는 일본인이 일본인 전체를 대표하는 지도적 위치에 있는 인물은 더더욱 아니고 말이다.

우리가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나 학자들에 의한 역사왜곡 문제, 정치인들의 과거사 관련 망언에 분개하고 시정을 요구하는 이유는 이들이 갖고 있는 지도적 위치를 고려했기 때문이다.
 
평범한 일반 국민 누군가가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다고 해서, 또는 창씨개명은 조선인이 원해서 했다고 해서 그것을 크게 문제 삼지 않고 그저 한 인간의 양식을 의심하는 선에서 끝나는 이유 역시 그래서다.
 
온라인에서건 오프라인에서건 일본인들과 이야기를 하다 보면 한국의 찌라시 수준 밖에 안 되는 언론, 우리가 일명 좃선일보라고 부르는 그 신문지의 기사를 줄창 인용하거나 퍼 오는 분들이 있다.
 
그거 너무 믿지 말라고 충고하면 너희 나라 신문이 하는 얘긴데 어떻게 안 믿을 수 있냐고 오히려 나를 이상한 놈 취급을 한다. 그에 대한 세세한 유래를 설명해 주는 일이 피곤한 일이기도 하거니와 자칫 논지를 벗어날 수 있기 때문에 한숨만 쉴 때가 종종 있다.
 
같은 경우다. 일본인 전체가, 아니 절대 다수가 한국산 김치가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음식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을 것으로 나는 확신한다.
 
한 마리의 미꾸라지가 개울물을 흐리는 법이라고 했다. 이런 몰지각하고 몰상식한 몇몇의 일본인들이 하는 이야기를 마치 전체 일본인의 생각인 것처럼 그릇되게 전달해서 선량하고 양식 있는 일본인들의 맘을 상하게 하는 일이 없었으면 한다. 이는 한·일 양국 어느쪽에도 전혀 도움이 안 되는 일이다.
 
지금 우리는 한류가 도도한 물결이 되어 세계인의 가슴 속으로 물밀듯이 밀려 들어가는 대전환기의 한가운데에 서 있다. 뿐만 아니라 사상과 종교, 인종과 문화에 대한 포용과 관용이 지금보다 열배는 더 커진다고 해도 전혀 이상할 게 없는 나라 대·한·민·국이라는 사실 또한 기억하자.


, 일본인들이 즐겨 먹는 전통 음식하면 아마도 낫토(納豆)와 사시미(刺身)·스시(寿司) 아닐까 한다. 그 중에 낫토는 우리나라의 청국장과 비슷한 대두 발효식품으로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고, 최근에는 이를 이용한 건강음료까지 개발되어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다.
 
특히, 대두 속에 함유되어 있는 이소플라본(Isoflavone)은 식물성 에스트로겐(estrogen)으로 불려질 정도인데, 나이가 들면서 분비량이 감소하는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비슷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갱년기장애, 유방암 및 전립선암의 예방효과를 비롯해 미용효과까지도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뛰어난 효력으로 인해 근년 들어 대두식품 생산량이 5년 전에 비해 4배 가량 늘었다는 보고서도 있었다.
 
그런데 대두식품 중에 하나인 낫토를 과다 섭취하면 암에 걸릴 위험이 있다는 기사가 있어 눈길을 끈다. 어제자 석간 후지의 보도에 의하면 100그램용 팩에 들어 있는 낫토를 하루 2팩 이상 섭취하게 되면 위험하다는 것이다.

수치로 환산하면 남성은 70밀리그램, 폐경전의 여성은 59밀리그램, 폐경후의 여성은 71밀리그램이 이소플라본의 섭취 적정량으로 이는 슈퍼마켓 판매용(50그램) 3팩 정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사실은 일본 식품 안전위원회의 안전평가에 의해 밝혀진 것이다. 전문가에 의하면 식물 에스트로겐에는 미묘한 상황의 차이에 의해 항(抗) 호르몬 작용과 호르몬 작용의 두 가지 기능이 있다고 한다.
 
외국의 연구 결과를 보면 이소플라본 섭취량이 많은 그룹에서 암 위험도가 낮게 나왔다는 보고서가 있는 반면, 영국에서는 이소플라본의 혈중농도가 높을수록 암 위험도가 상승한다는 연구결과를 소개하고 있다.
 
상황이 이러하자 과학적 입증의 어려움을 들어 업계에서는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게다가 하루에 적정량 이상을 섭취하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고 항의하고 있다.

매일 낫토를 먹는 사람들도 주로 아침식사 때 위 사진과 같은 50그램용을 1~2개 먹는 게 전부인데다, 대두음료 500밀리리터에는 약 20그램의 이소플라본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하루 3병까지는 안전하다는 이유 때문이다.
우리의 된장이나 청국장은 어떤지 궁금하다.



Posted by 강동완(국제정치학 박사)
2002년~2006년/시 사2010. 6. 19. 12:20

단도직입적으로 말해서 27일로 예정되어 있는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의 일본 방문 결단을 두손들어 환영한다. 물론 우리 사회 한쪽에서는 이를 놓고 굴욕외교다, 줏대가 없다는 등의 우려 섞인 목소리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일본과는 앞으로 영영 담을 쌓고 살겠다는 정도로 외교 단절까지를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이 아니라면 굳이 예정되어 있는 방일을 취소할 이유가 없다고 본다. 아니 오히려 예정에 없던 일정이라도 잡아서 달려가 만나야 하는 것이 정석이다.
 
일본 주요 언론사 인터넷판 역시 반기문 장관의 방일 관련 소식을 정치면 및 국제면 기사를 통해 소개하고 있다. 한국 정부가 교류를 지속하면서 야스쿠니 신사 문제에 대한 견해와 항의의 뜻을 직접 전달하는 것이 낫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지난 17일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직후 나왔던 '방일 부적절' 입장을 바꾸고, 전격적으로 방일로 선회했다는 구절에서는 마치 우리 속마음을 들킨 것 같아 다소 씁쓰름하기는 하다.
 
다소 경솔하고 성급하게 대응했던 이런 부분과 관련해서는 철저한 반성과 원인 규명이 필요할 것이다. 게다가 아직까지 대일 외교 로드맵 조차도 만들어 두지 않았다면 더욱 큰 일이다. 설마 그런 일은 없을 줄 믿겠지만, 다시금 상황에 맞는 대처법과 대일 외교의 큰 틀을 재점검해 봐야 하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든다.

당연히 그 속에는 한반도의 평화적 통일과 동북아시아의 평화, 그리고 참여정부의 핵심 과제인 동북아 균형자론이 주된 줄기가 되어야 함은 두말하면 잔소리다.
그래도 우리가 적극 나서야 한다
   
그러나 이처럼 한국 외교통상부를 비롯한 관계 부처가 몇일 사이에 입장을 바꾼 이면에는 일본쪽 움직임이 상당히 작용했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특히 지난 20일 한국을 방문한 야마사키 타쿠(山崎拓) 자민당 전부총재의 역할론에 상당한 무게를 두고 싶다. 야마사키 의원은 고이즈미 총리의 둘도 없는 친구이자 최측근이고, 가끔은 해결사 역할까지도 마다 않는 인물이다.
 
그런 그가 경상대학에서 가진 강연을 통해 한·중·일 경제공동체 실현을 강조하면서 이를 위해서는 정치적 관계개선이 절실히 필요한데,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 바로 야스쿠니 신사 참배, 그리고 역사교과서 왜곡 등이라고 지적했다. 한마디로 한국 정부와 한국 국민들을 의식한 간접적인 문제제기요 화해의 메시지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한가지 짚고 넘어가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은 이 야마사키 의원이 고이즈미 총리의 신사 참배와 관련해서 고이즈미 총리와 의견 충돌을 빚었다던가, 아니면 역사교과서 왜곡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발벗고 뛰어다니고 있다는 얘기를 전혀 들어본 적이 없다는 점이다.
 
자, 그렇다면 중요한 것은 왜 이 시점에 한국을 방문해서 이런 요지의 발언을 했느냐라는 점일 것이다.
 
이런 모습은 결국, 이들의 철저하게 계산된 역할분담으로 봐야 한다. 똑 같은 입장을 갖고 있으면서도 한쪽은 싸움을 걸고, 한쪽은 말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라는 것이다. 그래서 이 사람들의 발언은 좀 더 냉정한 시각으로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22일부터 서울에서 개최된 지구온난화와 동북아시아 환경문제를 위한 한·중·일 환경장관 회의에 일본의 코이케 유리코(小池百合子, 최근 한 주간지가 고이즈미 총리와의 결혼설을 기사화해서 주목을 받고 있는 인물이기도 하다) 환경상이 참석을 했다. 물론, 이전부터 예정되어 있었던 행사일 것으로 판단을 하지만 이들과 고이즈미 총리와의 관계, 그리고 11월에 새롭게 구성될 새내각에서 이들이 맡게 될 자리 등을 고려해 봤을 때 일본 정부의 특사, 내지는 모종의 메시지 정도는 지참했을 것으로 봐도 전혀 무리가 없다.
 
우선 야마사키 부총재는 차기 내각의 외상으로 유력하고, 코이케 환경상은 정부 대변인격인 관방장관 기용설이 힘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이 가져온 보따리 속에 무엇이 들어 있는지 점쟁이가 아닌 이상 속속들이 알 수는 없는 일이지만 이런 저런 것들을 참고로 추론해 본다면 아마도 야스쿠니신사를 대체하는 국립추도시설의 건립을 반기문 장관 방일 선물로 준비하지 않았을까 싶다.
 
몇일 전, 이 국립추도시설과 관련해서 우리 언론에서는 일본 정부의 여론 조작이라고 기사화 하는 등 한·일간에 약간의 소동이 빚어진 일이 있었다. 사태의 전말은 호소다(細田) 관방장관이 기자회견장에서 국립추도시설과 관련한 국민여론 조사를 몇 차례에 걸쳐 한 적이 있다고 이야기를 했다가 왜 공개하지 않느냐는 문제 제기에 이를 다시 취소해서 은폐 의혹만을 키운 채 끝이 난 사건이다.
 
이것이 일본 정부가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에 대한 주변국의 반발 무마용으로 준비해 둔 히든카드 였는데, 관방장관의 실수로 사전 유출되면서 일어났던 해프닝 아니었나 싶다.
 
여기에 더해 빠뜨릴 수 없는 중요한 현안 가운데 하나가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의견조율과 추후 지원문제가 그것이다. 그리고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납치피해자 문제와 북일 수교를 향한 고이즈미 정권의 더딘 행보에 한국정부의 도움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기도 하다는 점이다.
 
그리고 또 하나 해결 가능한 현안으로는 일본을 방문하는 한국인들의 무비자 입국 문제일 것으로 판단된다. 당초 한·일 양국 정부는 만국박람회 기간 중에만 한국인의 무비자 입국을 허용토록 한다는 방침이었으나 이를 내년 2월까지로 연장시켜 놓은 상태였는데, 이번 기회에 아예 비자 완전 철폐에 까지 이를 가능성이 높다고 보여진다.
 
물론, 이 외에도 몇 가지 더 있을 것으로 사료되나 그 동안 우리 정부가 끈질기게 요구해온 핵심 사항이자 실현 가능성이 높은 사안이라는 점에서 이상의 것들에 대한 기대는 사뭇 크다.
 
그러나 이는 설사 일본 정부의 긍정적인 메시지가 없었다고 하더라도 우리가 먼저 발벗고 나서서 풀려고 달려들어야 하는 사안들이라는 점을 또한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런 점에서 외교통상부가 발표한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참배에 대한 한국정부의 분명한 입장을 밝히고 올바른 역사인식과 실천을 통해서 만이 한일관계가 미래지향적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할 것'이라는 공식 입장은 아주 옳다.
 
한가지 더 첨언하자면 이와 같은 우리의 공식입장은 일본 정부나 일본의 고위 관료에게만 전달되어서는 절대 안 된다. 일본의 언론과 매스컴, 그리고 일반 국민들을 향해 전방위적이고 체계적으로 진행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이 일에 우리 정부의 책임 있는 자리에 있는 분들이 더욱 활발하게 나서야 한다. 반기문 장관께서도 이번 방일에 적극적으로 매스컴을 활용하는 전술을 계획하시기를 바라고, 노무현 대통령께서도 기회가 된다면 일본 총리를 비롯한 각계 인사들, 특히 매스컴과의 잦은 접촉을 절대 마다하지 마시기를 간곡히 부탁 말씀드린다.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 이후 실시한 언론사 여론조사에 의하면 총리의야스쿠니신사 참배에 대해 반대하는 의견보다는 찬성이 많았다고 한다. 이는 종전의 여론조사 결과와 판이하게 다른 것으로 이런 분위기의 계기가 된 것이 지난달 있었던 중의원 선거에서의 고이즈미 열풍과 무관하지 않다.
 
계기야 어찌 되었든 찬성하는 이유 가운데 눈에 띄는 것이 한국과 중국 등 주변국이 반대하니까라는 대답이 의외로 많았다는 점이다. 즉 주변국에서 반대한다고 데모하고, 일장기 불사르고 하니 반발심리가 생겨나고, 매스컴은 또 그것을 반일 감정으로 매도하는 상황 하에서 그런 생각을 갖는 것도 무리는 아니지 싶다.
 
그래서다. 우리가 적극적으로 이들에게 다가가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가 거기에 있다. 이들에게 우리가 반대하는 이유를 조목조목 설명 해 줘야 한다. 우리의 반대가 반일이 아니라 항일인 이유, 그리고 이와 같은 항일 행동이 마치 자국에 대한 내정간섭이라도 되는 냥 잘못 인식하고 있는 이들에게 진실이 무엇인지를 알려주는 일을 불행하게도 우리가 해야 한다. 이 사람들 정말 모르기 때문이다. 하기는 한국(주변국)이라는 나라에 관심 갖기 시작한 게 일천하니 오히려 한국(주변국)을 안다는 게 이상한 일인지도 모르겠지만 말이다.
 
사실 이번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나 지난달 있었던 중의원 선거 결과를 놓고 일각에서는 일본 사회의 우경화가 원인이라고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으나, 이 또한 하나의 원인으로 파악할 수는 있을지언정 전부라고 단언하기에는 다소 설득력이 떨어진다.
 
나는 지난 총선에서 고이즈미 자민당이 승리할 것으로 조심스럽게 예상은 했었지만, 나타난 결과와 같은 압승일 것이라고는 전혀 생각조차 해보지를 못했다. 여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테고, 나 역시 앞선 글에서 하나의 이유를 제시하긴 했으나 좀 더 실감나는 분석이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자민당 압승의 최대 기여자는 프리타 (정해진 일정한 직장 없이 파트타임으로만 생활하는 사람들, 프리 아르바이터[free part-time worker]라는 일본어 준말)와 니트족 (NEET는 Not in Employment, Education or Training의 두문자로 청년 무직자를 가리키는 신조어)으로 대변되는 젊은 세대라는 주장이다. 자민당의 고정표에 비례표 500만표가 더해져서 압승을 거두게 되었는데 그 500만표의 내역을 분석해 보니 프리타가 400만, 니트인구가 80만에 이르더라는 것이다.
 
그런데 이들이 고이즈미 총리를 지지하는 이유가 사람을 참 당혹스럽게 만든다. 거두절미 하고 고이즈미 총리가 '너무 멋있기 때문'에 그를 지지한다는 대답이 절대적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정작 중요한 고이즈미 총리가 외치는 개혁의 실체에 대해서는 거의 아는 바가 없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고 하겠다.
 
이 젊은 세대들이 보기에 고이즈미 총리는 마치 게임이나 만화 속의 주인공과도 같다는 것이다. 자신에게 반대하는 적은 절대로 용서하지 않는 특출한 카리스마, 게다가 한치의 양보나 머뭇거림도 없이 단 칼에 적을 베어버리는 단호함과 테크닉, 가히 상상 속의 주인공에 버금가는 이런 점들이 젊은이들을 열광케 하는 요인이란다.
 
특히 일본 경제의 장기 침체와 불황 그로 인한 실업률의 증가로 갈 곳 잃은 청년 실업자들의 불만과 불안이 이처럼 엉뚱한 곳에서 엉뚱한 모습으로 표출되는 양상인데, 비슷한 처지에 있는 사람들과의 사이에 생기는 묘한 동료의식의 발로로 보여지는 최근의 이러한 경향은 일본사회의 엄청난 손실이라 할 수 있다. 게다가 더 큰 문제는 결국 이들이 고이즈미 개혁의 최대 희생자가 될 것이라는 사실이다.
 
바로 이와 같은 배경을 뒤로 하고 있는 게 오늘 일본 사회의 참 모습임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다면 우리는 이들의 움직임에 절망만 하고 있어서는 안 되지 않는가? 그리고 무엇보다도 올해는 한일 우정의 해이기도 하다. 이 행사의 본래 취지를 다시금 생각해 보자.
 
한국과 일본이 불행했던 과거를 딛고 친구로서의 우정을 나누어 보자는 것 아닌가? 그런데 마주잡고 악수를 나누던 그 손의 온기가 채 가시기도 전에 이별을 이야기 해서야 되겠는가? 철 없는 친구가 실망을 줘도 친구는 친구인 것이고, 잘못된 길을 가고자 한다면 두둘겨 패서라도 바른 길이 무엇인지 알려줘야 한다. 배신하는 친구를 보고 누군들 분통터지지 않겠는가마는 그러나 그래도 그게 우정을 나눈 친구로서 우리의 도리이다.
 
달려가자. 가서 만나서 따질 것은 따지고, 싸울 것은 싸우고 또 그렇게 부딪혀보자. 그리고 머리를 맞대고 해결책을 찾아보자.



Posted by 강동완(국제정치학 박사)
2002년~2006년/시 사2010. 6. 18. 20:08

고이즈미 정권 이후, 일본사회의 보수 우경화 현상은 하루가 다르게 빠르고 심각하게 전개되고 있는 양상입니다. 특히, 아베 정권으로 대표되는 보수 우파적 성격을 띈 정치세력이 주도하고 이들과 비슷한 성향을 지닌 사회 지도층과 언론들이 합심해서 만들어 내는 뛰어난 아젠더 세팅력은 엄청난 파급력을 지닌 채 여과장치 하나 없이 그대로 순진한 국민들에게 전파되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


그 좋은 예 하나가 평화헌법이라고 불리는 일본헌법 제
9조에 대한 개정 논의 아닐까 생각합니다. 반대 여론이 상당히 우세해 보이던 5·6년 전에 비해서 최근의 여론조사에서는 우열을 가리기 힘들 정도로 박빙의 찬반 의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일본 언론들이 전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대표적인 양심적 지식인 가운데 한 분인 이토 나리히코
(伊藤成彦) 선생은 필자가 번역 출판한 자신의 저서 「일본은 왜 평화헌법을 폐기하려 하는가(행복한 책읽기, 2006년)」한국어판 서문을 통해 "일본 헌법 제9조가 일본 패전 60년이 되는 오늘까지 문자 하나, 단어 하나마저도 바뀌지 않고 지켜져 올 수 있었던 것은 주변 아시아 제민족으로부터의 강한 연대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즉, "일본 헌법 제9조의 존폐를 둘러싼 투쟁은 일본 내의 패권세력과 평화 세력간의 투쟁임과 동시에 미·일 제국주의 세력과 아시아 민중들의 투쟁이기도 했으며 그것은 지금도 변함이 없다"라는 것 입니다. 


그렇습니다. 일본 헌법 제9조는 단지 일본 헌법 속의 한 조항으로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일본 정부가 자신들이 저질렀던 불행했던 과거사에 대한 반성임과 동시에, 더 나아가 다시는 그러한 침략의 역사를 되풀이 하지 않겠다는 아시아 각국 민중들을 향한 굳건한 약속 입니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일본 내 보수 우익 패권세력들이 획책하고 있는 평화헌법 개정을 통한 군사 국가화에 대한 우리의 우려와 반대는 저들이 주장하듯 '내정 간섭'이 아니라 우리의 분명한 '권리'인 것입니다.


전에도 한번 글로 쓴 적이 있습니다만 일본에서 유학생활 중이던 어느날, 일본인 지인과 함께 야스쿠니(靖国)신사 내에 위치하고 있는 부속시설 유슈칸(遊就館)을 방문한 적이 있습니다. 잊혀지지 않는 것은 전시실의 2층 입구에 있는 영화 상영관에서 상영중이던 다큐멘터리 영화입니다.


'잊지말자'라는 영화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청·일전쟁은 청나라로부터 조선을 독립시키기 위한 불가피한 전쟁이었고, 대동아 전쟁은 서구 세력으로부터 아시아 제민족을 수호하기 위한 위대한 전쟁이었다는 내용의 영화였습니다.


허탈한 심정으로 영화 상영관을 나와
30여분에 걸쳐 전시시설을 쭉 둘러본 후의 제 느낌은 야스쿠니신사 내 그곳, 유슈칸은 단순한 부속시설(전쟁박물관)이 아니라 ‘전쟁 미화 박물관’이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그곳에 합사되어 있는 A급 전범들이 다른 곳으로 옮겨진다고 해도 이와 같은 야스쿠니신사의 본질은 결코 바뀌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이 들더군요. A급 전범들이 그곳에 있건 없건 지금의 야스쿠니는 과거회귀 세력들의 마음의 안식처이기 때문이겠지요.


갈등의 시대, 한·일 양국의 양심적이고 깨어있는 시민들의 굳건한 연대와 동맹만이 21세기를 갈등과 분쟁이 없는 평화와 공생의 세기로 만들어 줄 것입니다. 교과서 문제, 정신대 문제, 영토문제, 한국인 원폭 피해자 문제 등 어느 것 하나 현재진행형이지 않은 것이 없는 지금 역사는 우리에게 준엄하게 묻고 있습니다. 무엇을 할 것이냐?



Posted by 강동완(국제정치학 박사)
2002년~2006년/시 사2010. 6. 18. 20:06

유슈칸(遊就館)은 야스쿠니신사 내에 있는 시설 중의 하나로 일본 전쟁 박물관으로 설명되곤 하지요. 그러나 유슈칸은 야스쿠니와 함께 단순한 박물관 내지는 추모시설 이상의 의미를 지니는 곳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그저 흔하디 흔한 전쟁 박물관으로 만족할 것이라면 그 위치가 지금처럼 야스쿠니신사 내일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어제는 예정에도 없이 갑자기 유슈칸을 방문하게 됐습니다. 제게는 한국어을 일본말처럼 멋지게 구사하시고, 한국의 웬만한 노빠 보다 노무현 대통령을 훨씬 더 좋아하는 일본인 지인이 한분 계십니다.
 
오랜만에 그 분을 만나서 이런 저런 얘기를 나누다가 노무현 대통령의 유슈칸 방문에 관련한 말씀이 화제에 올랐고, 그래서 말 나온 김에 한번 가보자고 의기투합해 유슈칸 방문을 실행에 옮기게 됐습니다. 뭐, 그 분이나 저나 머리에 털 나고 처음으로 유슈칸을 방문하게 된 것이었지요.
 
몇 년 전이었을 겁니다. 저는 제가 일본에 온지 얼마 안됐던 어느 해 8월 15일에 겁도 없이(?) 일본의 평화유족회 회원분들의 평화시위에 참석했다가 야스쿠니신사를 처음으로 방문해본 경험이 있지만, 유슈칸에는 들어가보지를 못했거든요.
 
그런데 저의 일본인 지인께서도 일본에 60년 가까이 사셨으면서도 야스쿠니신사 쪽은 쳐다보지도 않은 관계로 이제껏 가보지를 못했다고 하시더군요.
 
아무튼 그렇게 유슈칸을 방문하게 됐습니다.
 
800엔이나 하는 입장권을 구입하고 2층 전시실로 올라가게 되면 제일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영화 상영관입니다. 약 150석 규모의 아담한 극장에서 상영되고 있는 것은 '잊지 말자'라는 다큐멘터리 영화였습니다.
 
궁금했습니다. 도대체 뭘 잊지 말자고 하는 것일까? 처음부터 끝까지 자리에 앉을 생각도 않은 채, 맨 뒷 줄에 서서 두 눈 부릅뜨고 지켜봤습니다. 이상하지요. 꼭 그런 상황과 마주치게 되면 나도 모르게 어떤 대결 심리가 발동이 됩니다. 마치 네가 이기나 내가 이기나 해보자라는 식의 그런 묘한 감정 말입니다.
 
아니나 다를까. 청일 전쟁은 청나라로부터 조선을 독립시키기 위한 불가피한 전쟁이었고, 대동아 전쟁은 서구 세력으로부터 아시아 제 민족을 수호하기 위한 위대한 전쟁이었습니다. 그게 영화의 전부입니다.
 
그리고 극장을 나서면 전시실이 이어집니다. 여기저기 이것 저것 둘러보고 마지막 전시실로 향하게 되면 전사자들의 사진이 벽면을 가득 채우고 있습니다.
 
서둘러 휘 둘러보고 밖으로 나오니 의문이 들더군요. 도대체 뭘 잊지말자고 저렇게 차려 놓은 것일까? 전쟁을? 아니면 죽음을? 그도 아니라면 미국과도 맞짱떴던 당시의 영광을?
 
아쉽게도 그곳에는 평화는 없고, 전쟁만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사실 그마저도 분명치가 않았습니다. 그래서 결론은 전쟁을 또 하자는 거야? 아니면 말자는 거야? 아둔한 나의 머리로는 알 수가 없었습니다.
 
쓰잘떼기 없는 이야기가 길어졌지요.
 
노무현 대통령께서 말씀하신 유슈칸 방문건을 놓고 말들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좀 더 대국적인 견지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우선, 현재의 일본 사회 현실을 바로 볼 필요가 있는데요. 우리가 생각하는 것 보다 일본사회의 보수 우경화 현상은 빠르고 심각합니다.
 
특히, 보수 우파적 성격을 띈 정치세력이 주도하고, 이들과 비슷한 성향을 지닌 사회지도층과 언론이 합심해서 만들어내는 뛰어난 아젠다 세팅력은 그대로 국민들에게 전파되는게 현실입니다.
 
일례로 야스쿠니신사 참배문제, 평화헌법 개정 문제, 자위대 파병 문제가 이를 뒷받침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첫말을 꺼내기가 힘이 들지, 한두 번 언론에 오르내리게 되면 그건 일상용어화 되다시피 합니다.
 
이러한 일본 사회의 보수화 경향은 정치권의 지형을 일시에 자민·민주 양당 체제로 바꾸어 놓았고, 혁신세력의 몰락을 가져왔습니다.
 
현재 일본 정치권의 최대 화두라 할 수 있는 차기 총리 문제도 이와 결코 무관하지 않습니다. 지금 거론되고 있는 4명의 차기 주자들 대부분이 역시 골수 우파임에는 분명합니다.
 
그러나 그중에 그래도 고이즈미 총리와는 좀 다른 인물이 차기 총리가 되었으면 하는게 우리의 솔직한 바람이지요. 그래서 저는 개인적으로 아베 신조(安倍晋三) 관방장관 보다는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 전 관방장관이 되었으면 하고 바라는 것이구요. 또 그렇게 흘러갈 것으로 예상은 합니다.
 
그리고 여기에 더해 한 가지만 더 욕심을 내자면, 이제는 일본 정치권 내에 친한파·지한파 의원들도 좀 많이 만들고 이들과의 연대 또한 활성화시켜야 하지 않겠습니까. 과거처럼 만나서 요정 가고, 양주 마시는 의원연맹이 아니라 동북아의 미래를 놓고 진지한 고민이 가능한 그런 의원들의 모임 말입니다.
 
바로 이런 두 가지를 실현 가능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우리정부의 차별화 된 전략도 필요하다는게 저의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쉽게 이런 것이지요. 고이즈미 총리의 일련의 움직임이 마음에 안든다고 해서 모든 일본 정치권과 담을 쌓아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반고이즈미 세력, 반고이즈미류의 인물과는 더욱 끈끈한 연대가 필요하고, 그들의 일본 내 입지가 강화될 수 있는 무수한 방법들을 우리 나름대로 고민해야 한다는 이야기 입니다.
 
정리하겠습니다. 이번에 나온 노무현 대통령의 유슈칸 관련 말씀도 그것의 일환으로 저는 받아들입니다. 당시 일본 언론에서도 그 말씀을 관심있게 다루면서 후쿠다씨와 나카소네씨에게 포커스가 맞추어 졌었거든요.
 
그래서 이런 것이지요. 일본 국민들이 보기에 "아, 후쿠다씨가 총리가 되면 주변국 관계가 많이 좋아질지도 모르겠구나"라는 기대감을 팍팍 심어줄 수 있도록 하는, 한마디로 후쿠다씨를 위한 노무현 대통령의 '선물'이었다고 저는 보는 것이지요.
 
그리고 이 정도의 선물로 그칠 것이 아니라 아예 말씀하신대로 유슈칸을 직접 방문하실 것을 감히 제안 드립니다.
 
실행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것으로 생각이 되는데요. 예를 들자면 후쿠다씨를 비롯한 주변 인물들 특히 '새로운 추도시설 건립을 준비' 중인 세력들이 이와 관련한 이벤트를 준비하고, 노무현 대통령을 초청하는 방법이 있을 것입니다. 물론, 더 욕심을 낸다면 노무현 대통령 뿐만 아니라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도 함께 초청하는 방안도 있을 수 있겠지요.
 
그리고 그날 저녁 고이즈미 총리와 마주 앉아서 딱 한마디만 해 주시면 됩니다. "도대체 뭘 잊지 말자는거요?"라고 말입니다. 사실, 어제 류슈칸을 방문하고 나서 든 생각 중에 하나가 '고이즈미 총리도 제대로 모르고 있구나'라는 것이었습니다. 와타나베(渡辺) 요미우리신문 회장 이야기 가 맞는 것 같습니다. 그는 "고이즈미 총리가 무식해서 그런다"고 했다지요. 무식하면 용감하다? 맞는 말인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노무현 대통령의 방문 시기는 8월 15일이 괜찮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물론, 이 부분에 대해서는 우리 국민들의 많은 이해와 동의가 필요하게 될텐데요. 그러나 만약 이게 실현만 된다면 그것이 가지는 상징적 의미는 엄청난 것이 될 겁니다.
 
그렇게 되면 더 이상 야스쿠니는 지금의 야스쿠니로 존재할 수가 없습니다. 또한 고이즈미류가 야스쿠니를 더 이상 지금처럼 자신들의 정치적 수단으로 악용할 수가 없게 됩니다. 왜냐하면 야스쿠니의 의미가 일거에 퇴색해 버리고, 본래의 의미로 돌아가게 될 것이기 때문이지요.
 
그뿐이겠습니까? 평화헌법 개정 문제 등 일본 우경화를 차단하고 잠재우는데도 더 없이 좋은 명약이 될 것임은 물론이거니와 더 나아가서 한·일간의 최대 걸림돌이 되고 있는 과거사와 관련한 장벽들을 일거에 날려버릴 수 있는 일대 전기가 될 수도 있을 것으로 저는 확신합니다.
 
물론, 고이즈미 총리가 언제 야스쿠니신사를 방문하는가 역시 하나의 변수가 되기는 할 겁니다. 언론 보도에 의하면 본인 스스로도 재참배에 대한 의욕을 꺾지 않은 상태이고, 문제는 시기인 듯 싶은데요.
 
어떻게 보면,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 시기가 차기 총리를 누구로 점 찍어 두고 있는지를 가늠해 볼 수 있는 바로미터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만약에 8월 15일 방문을 고수한다면, 이는 아베 관방장관을 배려하고 있다고 봐야 하는데요. 아베 관방장관 역시 총리가 되면 야스쿠니를 참배하겠다고 공언하고 있는 입장이기 때문에 고이즈미 총리가 임기말 8월 15일에 야스쿠니신사를 전격 방문하게 되면 차기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는 더욱 쉬워지게 됩니다.
 
그러나 8월 15일이 아닌 다른 날짜를 선택하게 된다면, 이는 후쿠다씨를 비롯한 참배에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세력을 배려한 것으로 봐야겠지요. 그래야 차기 정부의 부담이 크지 않을테니까요.
 
우리 정부 입장에서 8월 15일 방문이 정 여의치 않다면, 고이즈미 총리와 같은 날 방문도 심각하게 고민해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같은 날, 고이즈미는 신사를 참배하고, 노무현 대통령께서는 유슈칸을 방문한다. 어떻습니까? 너무나 대조적이고 극명한 메시지 아닙니까?


Posted by 강동완(국제정치학 박사)
2002년~2006년/시 사2010. 6. 18. 20:04

짜고 치는 고스톱에 어르고 달래고, 이게 사실 본질적인 일본 보수 우익들의 실상이지요. 보수 우익이라는 짜여진 틀 속에서 찍어내어지는 벽돌장이 누구라고 크게 다르기야 하겠습니까만, 그래도 중간 중간 아주 가끔은 시쳇말로 '싸가지'라는 덕목을 갖고 나오는 넘들도 있지요. 바로 그 싸가지를 골라내자는게 일본 보수 우익 분리 대응을 주장하는 저의 주된 논지입니다.
 
노무현 대통령을 야스쿠니신사 유슈칸에 초대합니다라는 글을 올리자마자 에구 또 이번에는 독도문제가 불거지는군요.
 
일본 문부 과학성이 어제 내년부터 사용될 고등학교 교과서에 대한 검정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언론이 전하는 검정 결과에 의하면 문부 과학성은 상당히 세세한 부분까지 직접적인 간섭을 한 것으로 보여지는데요. 그래서 검정이라는 표현보다는 오히려 '지침'이라는 표현이 더 정확할 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검정 의견이 집중되어 있는 부분은 총 3개 항목이었습니다.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와 관련한 사법 판단 부분, 영토문제, 그리고 이라크 전쟁과 자위대 파병에 관련한 부분이었습니다.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를 위헌 판결했던 문제와 관련해서는 '일개 지방법원의 판단에 지나지 않는다'는 이유를 들어 '위헌'이라는 단어를 삭제했구요.
 
이라크 전쟁과 관련해서도 미국의 선제공격이라는 일부 교과서의 기술에 대해 당시 이라크의 행동은 선제 공격이나 방어 공격의 개념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수정 지시했구요. 자위대의 파병과 관련해서도 '인도부흥 지원활동'으로 용어를 통일하도록 지시했습니다.
 
영토문제와 관련해서는 총 기술 교과서의 약 46% 정도에 해당하는 분량에 문부 과학성이 의견을 붙였습니다. 전부 60군데에 지적이 있었다는 것인데요. 이중 독도와 관련해서는 20곳이 수정 지시됐습니다. 역사와 공민, 지리 교과서에 독도와 북방영토가 '일본의 영토'라는 점을 명확히 하라라는 지시인 셈이지요.
 
일본 정부는 지난해 중학교 교과서 검정 때 독도가 일본 영토라는 점을 명시하도록 출판사에 요구했었는데요. 고교 교과서에도 이런 요구를 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한편 중국과 영토분쟁 중인 센카쿠 열도와 관련해서는 센카쿠 열도는 '일본이 실효 지배하는 영토로서 중국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지만 영토 문제는 아니다'라는 견해를 나타냈는데요. 그래서 센카쿠 열도는 북방영토나 독도와 구별하도록 지시하는 검정 의견을 내놓음으로써 영토문제로 기술했던 교과서들이 수정되었습니다.
 
전체적으로 역사문제 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적인 현상에 대해 문부 과학성의 의견이 첨부되었는데요. 이 중에서 역사관련 내용만 살펴보면요.
 
한 역사 교과서는 아소 다로 외상의 2003년도 창씨개명 관련 망언을 실었다가 검정 과정을 거치면서 수정이 되었는데요. 그 역사 교과서는 "2003년 아소 다로 자민당 당시 정조회장이 '창씨개명은 조선인이 원했다'는 역사적 사실에 반하는 취지의 발언을 해 문제가 됐다"고 기술했었는데요.
 
이것이 문부 과학성의 검정을 거치면서 창씨개명 부분은 삭제가 된 채, '그 후에도 일부 정치가가 일본의 조선에 대한 지배를 정당화 하는 발언으로 비판을 받고 사죄했다'라고 수정되었습니다.
 
또 종군위안부 문제와 관련해서도 한 교과서가 '일본군에 의해 위안부가 된 여성'이라는 표현을 실었는데요. '오해의 소지가 있다'며 '일본군의 위안부가 된 여성'으로 바꾸도록 했습니다.
 
이외에도 남경 학살과 관련해서는 피해자가 20만 정도로 기술되어 있는 교과서에 대해 일본 국내에는 십 수만 명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숫자가 부풀려져 있다며 수정지시를 내리는 등 역사문제 전반에 걸쳐 문부 과학성의 의견을 냈습니다.
 
이상이 이번 고교 교과서 검정 결과인데요. 사실 독도문제도 그래요. 시도 때도 없이 반복되면서 세뇌당한 영향도 무시할 수 없고 해서 아마도 일본 국민 90% 이상이 독도는 일본 땅이라고 생각할거라고 봅니다.
 
그런데 하물며, 벽돌장들이야 더 말해서 무엇하겠습니까? 백이면 백 전부 자기네 땅이라고 큰소리칠텐데요. 다만, 차이점이 있다면 그들 나름대로 방법상의 다름을 갖고 있다라는 것이겠지요.
 
어떤 부류는 대 놓고 자기네 땅이라고 우겨 대면서 주변국과 갈등을 조장하고, 그 갈등은 다시 일본 사회의 보수 우경화로 직결되고 그렇게 돌고 도는 속에 공고해지는 것은 한참 오른쪽으로 가 있는 일본 사회지요.
 
그리고 또 어떤 부류는 아닌 척 하면서 독도는 자기네 땅으로 등록해 둔 채, 주변국과의 우호관계를 강조하면서 친밀함을 유지하고자 하지요. 왜냐하면 바로 그게 자국에게도 유리하다고 판단하니까요.
 
단적으로 독도를 예로 들었습니다만, 결국은 만나는 지점이 같은 이 두 세력에 의한 갈등과 권력투쟁 이런 것들이 겉으로 표출되면서 불거지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역사 관련 문제, 영토문제 이런 것 아닐까 생각합니다.
 
요즘 이렇게 보면은요. 앞의 두 부류 중에 그래도 역시 전자에 해당하는 부류의 힘이 아직은 막강한 것 같습니다. 벌써 사회적 폭발력부터가 다르잖아요. 하나 하나 문제되는 내용을 꺼내 놓을 때마다 주변국이 난리치고, 언론이 집중적으로 다루어 주고 말입니다.
 
그러나 후자에 의한 반격도 만만치는 않을 겁니다. 특히, 경제계쪽 재벌 집단의 입김이 그곳을 향하고 있고, 이들과 공조하는 일부 언론들의 일탈 움직임이 가속화되면 대놓고 우익 장사하기는 다소 힘들어지는 상황이 오겠지요. 그래서 무엇보다도 그런 부류들과의 연대도 중요하고 한데요.
 
우리 입장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일본 사회 속에서 '과거사'라는 실체를 날려버리는 일 아닐까 생각합니다. 보수 우익들의 세력화에 악용되고 있고, 이를 또 다시 확대 재생산 시키면서 사회적 보수화의 큰 매개 구실을 하고 있는 '과거사의 고리'를 끊어버리고 '과거사'라는 실체를 날려버릴 수만 있다면 주변국과의 갈등의 씨앗도 없어지게 되겠지요.
 
이번 교과서 검정건도 그렇지 않습니까? 저들이 또 악용하고 있는 것이거든요. 그래서 일본 사회 속에 더 이상 과거사의 잔재가 존재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을 우리가 강구해야 할 필요성을 절실히 느낍니다.
 
이런 작업을 일본에게만 맡겨 놓아서는 더 이상 희망이 없음을 우리는 지난 60년 동안 지켜 봐 왔습니다. 우리 정부의 역할, 어떤 것이 있을까요?


Posted by 강동완(국제정치학 박사)
2002년~2006년/시 사2010. 6. 18. 20:01

참 우여곡절이 많았던 정상 회담이다 보니 일본 언론들도 더욱 관심 있게 보도하고 있는 것 같다. NHK를 비롯한 일본의 주요 텔레비전, 일본의 양대신문이라고 하는 요미우리와 아사히신문을 비롯한 거의 모든 언론들이 주요뉴스로 다루고 있다.

정상회담 전날까지는 주로 이번 정상회담의 긴장된 분위기에 초점을 맞췄었다. 예를 들면 넥타이차림의 회담이라는 점, 기자회견에 기자들의 질의 응답 없이 회담성과만을 발표한다는 점, 기자회견장에 방송 카메라나 기자 출입이 엄격하게 제한된다는 점을 들어서 그 어느 때 보다도 긴장감이 흐르는 정상회담이 될 것으로 보도 했었다.

그리고 정상 회담이 끝난 지금, 일본 언론들의 주요 요점은 '의례적인 수뇌회담, 역사문제 합의되지 못했다'라는 것으로 정리가 되는 것 같다. 그렇다면 절반은 성공한 셈이다.

반성은 그만하고 실천을 하자

일본 언론들은 이번 정상회담은 넥타이 차림이라는 다소 긴장된 분위기에서 열렸기 때문에 솔직한 의견 교환은 이루어지지 못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또한 공동 기자회견에서는 질문을 받지 않고 종료했다고 소개하고 있다.

정상회담이 끝나고 공동기자 회견에서 노무현 대통령께서는 '새로운 추도시설 건립과 관련해서 고이즈미 총리가 일본 국민들의 여론 등을 고려해 검토할 것임을 밝혔다'고 소개를 했다.

또한 역사 교과서 문제와 야스쿠니신사 참배 문제 등 역사인식과 관련해서도 의견 교환을 했지만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다고 전하고 있다.

그리고 북한의 핵 문제와 관련해서는 평화적 해결을 위해 한 · 미 · 일 제휴를 지속할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한편, 고이즈미 총리는 '한국 국민들이 갖고 있는 과거사에 대한 감정을 무겁게 받아들인다. 일본은 과거의 문제에 대해 반성해야 할 것은 반성하고, 그것을 토대로 미래를 위한 솔직한 대화를 나누는 것이 중요하다' 라고 말한 것으로 보도하고 있다.

인도적 지원과 관련해서 고이즈미 총리는 강제징용자 유골반환, 한국 거주 피폭자 지원, 사할린 거주 한인지원 등은 가능한 인도적 관점에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고, 양국 정상은 김포-하네다간 항공편을 오는 8월1일부터 하루 4편에서 8편으로 증편키로 합의했다고 전하고 있다.

외교 바로 세우기

당초 일본 언론들은 공동 기자회견에서 질의 응답을 없앤 것을 두고 현재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독도문제가 양국 정상의 최대 난제이기 때문으로 분석했었다. 자칫, 기자회견 질의 응답이 독도문제 등 민감한 사안으로 집중되면 결국 양국 정상은 서로에 대한 시각의 차이만 확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현재의 한일관계는 양국 언론들이 분석하고 있는 것처럼 독도문제를 비롯하여 역사인식 문제와 야스쿠니신사 문제 등이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음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그게 전부는 아니다.


1965년 한일수교 이후 40년간 이어져 왔던 불평등 · 불균형한 한일관계를 바로잡기 위한 그야말로 외교 바로 세우기 차원에서의 긴장이요 갈등이라는 사실 역시 간과해서는 안될 일이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한일 양국 언론 모두 심도 있게 다루지 못한 채, 단지 현재 겉으로 드러나 있는 역사문제와 영토문제라는 표피에만 너무 매몰되어 있는 것 같아 안타깝기 짝이 없다.

어쨌든 한일 정상회담은 절반의 성공으로 끝이 났다. 말이 통하지 않는 사람을 상대로 외교전을 벌여야 하는 노무현 대통령의 고충이 이만 저만이 아닌 것 같다. 그러나 한편으로 아쉬움 또한 크다. 갈등을 두려워 해서는 외교가 바로 서지 않기 때문이다.
 


Posted by 강동완(국제정치학 박사)
2002년~2006년/시 사2010. 6. 18. 19:50

요즘 들어 야스쿠니신사 참배와 관련한 반대론 및 분사론이 부쩍 힘을 받고 있는 것 같습니다. 여야를 막론하고 일본에서 힘깨나 쓰는 정치가들은 다들 한마디씩 하는 분위기지요. 그리고 우리 언론들도 이런 주장을 상당히 우호적으로 보도하고 있는 것 같고 말입니다. 우리 언론에 소개된 것 중에 최근에 나온 발언들만 좀 살펴볼까요.
 
먼저, 유력한 차기 일본 총리인 후쿠다 전 관방장관입니다. 후쿠다씨는 한 모임에 참석해서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 참배 강행으로 한국·중국과의 관계가 악화된 데 대해 유감을 표시하고, "야스쿠니에 가는 게 뭐가 나쁘냐라고 하면은 상대방도 감정적이 된다" 라며 "정상끼리는 물론이고 국민들도 서로 감정적이 되는 건 가장 나쁜 일"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모리 전 총리 역시 텔레비전 토크 프로그램에 출연해서 야스쿠니 참배는 일본 국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라는 발언을 했는데요. 한국이나 중국과 관계개선이 중요하다면 차기 총리는 야스쿠니를 참배하지 말아야 한다라는 말과 함께 "야스쿠니 참배에 대해 고이즈미 총리는 정신적인 문제라고 말하지만 이제는 '정치적인' 문제로 변했다"고 강조하고, A급 전범을 분사할 수도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나카소네 전 총리도 일본왕인 천황이 참배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총리의 역할이라며 이러한 방안의 하나로 분사를 제기한바 있습니다.
 
제1야당 민주당의 오자와 대표도 분사론을 제기했었는데요. 신사에 모신 영령의 명패 같은 걸 없애면 된다라는 요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언론은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어제는 현직 각료인 요사노 가오루 금융·경제·재정상이 A급 전범 분사론을 말했다고 하지요? 요사노씨는 "A급 전범의 분사를 포함해 그 방식은 신사가 판단할 일" 이라며 신사 측에 자발적인 분사 검토를 제안했다는 것입니다.
 
이상이 대강 살펴본 최근 기록들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가 이런 주장들에 무조건 찬성만 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결국 이런 주장을 하는 사람들의 참된 의도가 뭐냐라는 점을 우리는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지요.
 
주변국의 의견을 무시한 채, 고집스레 참배를 강행하고 있는 고이즈미 총리가 밉다고 해서 이에 반대하는 사람들의 의견이라면 앞뒤가리지 않고 얼씨구나고 받아들이는 우를 범하지 말아야 할 것으로 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가 야스쿠니 참배를 반대하는 근본적인 이유가 무엇인지부터 제대로 살펴봐야만 합니다. 분사론자들이 주장하는 야스쿠니신사에 A급 전범들이 합사되어 있다는 사실은 단지 우리가 참배를 반대하는 하나의 이유에 불과할 뿐입니다. 더 큰 이유는 야스쿠니신사가 과거의 침략전쟁을 미화하고 과거사를 왜곡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사실이지요.
 
이와 관련해서는 제가 전에 쓴 '노무현 대통령을 야스쿠니신사 유슈칸에 초대합니다'란 글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단적으로 말씀드려서 제가 가서 눈으로 확인해본 바에 의하면 야스쿠니신사 내 그곳은 단순한 전쟁박물관이 아니라 '전쟁 미화 박물관'이었습니다.
 
그렇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설사 A급 전범들이 다른 곳으로 옮겨진다고 해도 이와 같은 야스쿠니신사의 본질은 결코 바뀌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A급 전범들이 그곳에 있건 없건 지금의 야스쿠니는 과거회귀 세력들의 마음의 안식처입니다. 그래서 제대로 되려면 '분사론'이 아니라 '대체 추도시설 건립론'으로 가야 합니다. 우리 역시 그것을 강력히 주장해야 되고 말입니다.
 
그리고 그 대체 추도시설은 평화와 공생의 상징이어야 하며, 한일교류 · 동북아연대의 장이 되어야 합니다. 또한 우리의 젊은 학생들이 수학여행 가서 일본의 젊은이들과 함께 어울려 놀고 토론할 수 있는 만남의 집이어야 합니다.
 
물론 쉽지 않은 일 일겁니다. 하지만 그 길이 멀고 험난하다고 돌아가려 해서는 안됩니다. 새로운 한일관계는 갈등 없이는 결코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미래를 위해 필요한 갈등이라면 피하지 말고 헤쳐 나가야하지 않겠습니까?



Posted by 강동완(국제정치학 박사)
2002년~2006년/시 사2010. 6. 18. 19:00
노무현 대통령은 기회있을 때 마다, 그러니까 부시 미 대통령을 만나는 자리라든가,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을 만나는 자리에서는 어김없이 일본의 역사왜곡 사실과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의 부당성에 대해 설명한다.

중국의 후진타오 주석 역시 부시 미 대통령을 만난 자리에서 야스쿠니신사 문제를 꺼내서 두 정상간에 많은 이야기가 오갔던 것으로 일본 언론이 전하고 있다. 이 자리에서 후진타오 주석은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가 양국의 관계 발전에 장애가 되고 있다는 뜻을 전달을 했고, 이에 대해 부시 대통령은 미국은 일본을 용서했으므로 중국 역시 미래를 생각해서 심도있는 대화를 나누어 보는 것이 좋겠다는 주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고이즈미 일본 총리는 미일 정상회담 후에 이런 발언을 해서 주목을 받았다. "미일 관계가 돈독해지면 질수록 한일 및 중일 관계도 좋아지게 된다" 물론, 이 발언과 관련해서는 일본 내에서도 찬반 양론이 엇갈리고 있다.

21일, 5년만에 일본을 방문한 부틴 러시아 대통령은 고이즈미 총리와 마주 앉았다. 그러나 일본측은 자국의 최대 희망사항 중에 하나인 북방영토(쿠릴열도) 4개 섬 문제는 꺼내보지도 못한 채 정상회담을 마쳐야 했다.

북방영토 문제에 대한 부틴 대통령의 자세가 워낙에 강경했기 때문에 이 문제에만 목 매달았다가는 중일 관계만큼이나 러일 관계 역시 앞날을 기약할 수 없다고 판단한 일본 정부가 대폭 양보해서 성사된 부틴 대통령의 일본 방문이었다.

이를 놓고, 일본 언론 및 전문가들은 러시아에 있어서의 일본의 영향력 저하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다. 중국과 한국의 급속한 경제발전과 국가 경쟁력 향상으로 이들 국가가 러시아에서 일본의 역할을 대신하면서 일본의 중요도가 현저하게 떨어진 결과라는 분석이다.

또한 일본 교도통신의 보도에 의하면 일본 정부는 야스쿠니신사 참배 문제로 한국 정부의 반발이 거세기 때문에 12월로 예정되어 있는 노무현 대통령의 방일에 대한 기대를 포기했다고 전하고 있다.

또한 아소 타로 일본 외상은 야스쿠니신사 참배 중지가 노무현 대통령의 방일 전제 조건이라면 참배를 중지하면서까지 노무현 대통령의 방일에 매달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명언했다. 즉, 다음달의 셔틀 회담이 연기 또는 중지된다고 해서 양국관계가 단절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이유에서라고 한다.

이 부분과 관련해서는 일본측에 진의를 요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것이 일본 외상의 개인적인 생각인지 아니면 일본 정부의 공식 입장인지에 따라서 우리의 대응 역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설사, 외상의 개인적인 생각이라 하더라도 재발 방지를 위한 강력한 항의는 필요하다고 본다.

어쨌든 이상의 결과들을 놓고 일본 외교력의 약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일본 내에서도 만만치 않게 들리고 있다고 일본 언론들이 전한다. 우리 입장에서는 다소 고소하게도 들리는 이와 같은 분석들이 과연 일본 외교의 참 모습인지에 대해서는 좀 더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앞에서 기술한 내용들을 종합해 보면 한일 및 중일 관계가 한미 · 중미 관계의 연장선상으로 옮겨간 양상이라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제 한일 · 중일 관계 속에 당사자인 일본은 없고, 대리인인 미국이 그 역할을 대신하는 쪽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는 얘기가 된다.

일본 정부 입장에서는 동북아 외교의 큰 틀을 대미 관계의 연속선상에 두고 미일 관계의 돈독함 속에서 풀려고 하는 의도로 즉, 대미 종속적 행태를 노골화 하고 있는 고이즈미 정권을 비롯한 신흥 우익세력의 성향으로 볼 때, 대미 의존도의 강화가 여러모로 자국에 유리하다고 판단했을 법 하다.

현재 고이즈미 개혁의 일환으로 진행 중인 우정산업 민영화, 주일 미군 재편문제, 미국산 쇠고기 수입 여부 등을 놓고 일본 정부에 가한 미국측의 압력은 상당했던 것으로 언론들은 보도를 하고 있다. 특히 그 중에 클라이맥스는 부시 정권으로부터 개혁의 진도가 너무 늦다라는 지적을 받고 급피치를 내고 있는 우정산업 민영화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주일 미군 재편문제와 관련해서도 이를 미일 군사 동맹의 강화로 보는 측도 있으나 사령부 기능의 본토 이전 등을 감안해 볼 때 쌍방의 생각이 많이 달랐음을 알 수 있으며, 오히려 일본 입장에서는 울며겨자먹기로 주일 미군의 이전비용조차 부담해야 하는 처지가 되었음은 미일 군사 동맹의 허술함을 보여주는 일례로 거론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구도를 타파할 수 없음이 현재 일본이 안고 있는 구조적 모순이라고 할 수 있다. 전후 일본은 미국과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 하에서 성립된 체제이고, 그와 같은 체제를 혁파하기 위해서는 전후 일본의 위상을 새롭게 정립해야 하는데, 그 한가운데에 천황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장애가 되고 있다.

일본이 지금과 같은 불평등한 대미 관계를 만들 수 밖에 없었던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가 바로 전쟁 전 체제인 천황제를 유지하기 위해서 였고, 이를 위해 천황 자신이 자국의 헌법을 위반해 가면서까지 미국측과 교섭을 벌인 내용이 기록으로 남아있기도 하다.

결국은 동북아 외교 역시 이와 같은 모순에 함께 빠져들어가는 꼴이 되고 말았는데, 이는 일본 현 체제에 씻을 수 없는 원죄가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바로 이런 사실을 너무도 잘 알고 있는 일본 신흥우익들은 동북아 문제를 동북아 당사자와 풀려는 생각을 버리고, 동북아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갖고 있는 미국을 매개로 할 것을 계산에 넣고 있다고 보여진다.

그래서 일본 정부는 외교와 과거사를 분리해서 대응해 나가며, 외교는 일본 정부가 맡되 과거사와 관련한 일체의 해결책은 미국에게 의존하고 미국의 입김이 주변국에 전해지도록 경제력을 동원한 공작을 벌이는 것이다. 이는 대미 의존에 '올인'함을 의미한다.

일본 정부 입장에서는 일본의 원죄를 용서해 준 유일한 국가에게 자신의 안위를 위탁하고 구원 받는 쪽이 이해 당사자들과 힘겨운 줄다리기를 하는 것 보다 빠르고 편할 것으로 판단했지 싶다.

비록 얼마나 오래 갈지는 장담할 수 없지만 일본 신흥 우익세력들은 이와 같은 전략을 상당히 매력적인 수단으로 보고 있는 듯 하다.

우선, 주변국을 자극하는 도발적인 행위와 망언 등으로 지역 갈등을 부추키고 지역 안보를 위태롭게 몰고 가서 이를 자국 내 우경화 확산에 한껏 이용할 수가 있으며, 이는 일본 내 '전후사의 완벽한 청산'과 함께 '평화국가'에서 전쟁이 가능한 '전전(戰前)체제'로의 방향 전환을 이루도록 해 준다는 점에서 그렇다. 물론, 뒷 수습은 미국이 맡고 말이다.

게다가 어디 그뿐인가? 비록 뒷 정리일 망정 도둑질(?)도 같이하면 동지애가 생긴다고, 이에 더해 대미관계는 한층 무르익어 가고 있다.

일본의 외교력은 결코 약화되지 않았다. 단지 미국의 '팔뚝' 에 기대어 꼬랑지를 내리고 있을 뿐이다.




Posted by 강동완(국제정치학 박사)
2002년~2006년/시 사2010. 6. 18. 17:35

지난 글 '한·일관계가 꼬였다고? 그럼 더 꼬아라'를 통해서 전체적으로 기본적인 흐름은 살펴봤다. 그럼 이번에는 좀 더 구체적으로 '꼬여있는 한·일관계를 더 꽈야 되는 이유'를 통해서 새로운 한·일 시민연대의 중요성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일본의 진보적 지식인 중의 한 분인 츄오(中央)대학 명예교수 이토 나리히코(伊藤 成彦) 선생은 자신의 저서 『일본 헌법 제9조 이야기-전쟁과 군대가 없는 세계로』(번역본 『일본은 왜 평화헌법을 폐기하려 하는가』강동완 옮김, 행복한책읽기 펴냄)에서 지금 일본 헌법이 1947년 5월 3일 반포 이래 최대의 위기를 맞고 있다고 우려하면서 여·야 구분 없이 헌법 개정에 뛰어들고 있는 현 일본 정계의 움직임을 예의 주시해야 한다고 강조 했다.

일본 헌법은 통상 ‘평화헌법’으로도 불린다. 그 근거는 일본 헌법 제9조 2항의 전쟁포기와 군비전폐에 있다. 이렇듯 헌법에 전쟁포기와 군비전폐를 명기하고 있는 국가는 현재 일본과 중앙 아메리카의 코스타리카 공화국 뿐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 평화헌법을 개정하지 못해서 안달하는 세력들이 있으니 바로 자위대의 합법적인 군대화와 해외파병을 통한 군사대국화 야욕을 꿈꾸고 있는 新보수우익 군국주의자들이 그들이다. 물론 일본 사회에서 개헌론의 역사는 헌법의 탄생과 때를 같이 하고 있다. 이들 개헌론자들은 일본 헌법이 맥아더 연합군 사령부에 의해 강압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자주 헌법 제정론·강압헌법론 등을 들먹이며 개헌의 불씨를 계속 이어오고 있다.

그러나 이토 나리히코 선생은 앞선 그의 저서에서 이들의 주장을 가당치 않은 거짓말이라고 딱 잘라 말한다. 평화를 지향하는 일본 헌법의 최초의 제안자는 전후 첫 내각의 수상이었던 시데하라 기쥬로(幣原 喜重郞)였고, 이 제안을 받아 들인 것이 맥아더 사령관이었다고 역사적 사실들을 열거해 가며 조목조목 반박하고 있다.

어찌 되었건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일본 의회(참의원과 중의원)에서 호헌파가 적어도 3분의 1 이상을 점하고 있었기 때문에 개헌론 자체가 큰 힘을 받지는 못했었지만, 코이즈미(小泉) 내각이 들어선 2001년 4월 이후 상황은 급변해서 이제는 의회 내에 개헌파가 다수를 차지하는 현실이 되어버렸다. 그래서 반포 이래 최대의 위기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렇듯 정치권이 유리한 상황에 있으면서도 개헌론을 본격적으로 거론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여·야 할 것 없이 개헌론이 우세한 상황이라면 의회 내에 여·야가 합동으로 헌법개정 특별위원회라도 만들어서 적극적으로 밀어 붙일 수도 있지 않겠는가 말이다.

그러나 문제는 국민투표에서 통과시킬 자신이 없기 때문이라고 이토 선생은 또한 지적하고 있다. 사실 내가 뜬금 없이 '꼬여 있는 한·일관계'를 논하고자 하면서 일본 헌법 이야기를 길게 끌어 온 이유도 여기에 있다.

바로 개헌론의 마지막 단계인 국민투표에 대비해서 정치권의 개헌 분위기를 민간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정치권이 모종의 작업에 들어간 것 아닐까라는 느낌 때문이다. 아니 어쩌면 이것은 이미 오래 전부터 치밀하게 준비되어 온 코이즈미 세력의 거대 프로젝트의 한 부분일 수도 있다. 이미 여러 차례에 걸쳐 자민당 창당 50주년이 되는 올 11월까지는 개헌문제를 마무리 짓겠다고 호언장담해 오고 있음이 이를 증명한다고 하겠다.

또한 야스쿠니 신사 참배 문제로 불거진 중국과의 갈등, 대포동 미사일과 납치 피해자 문제로 연일 두들겨 패고 있는 북한, 거기다가 이제는 하나 남은 다정한(?) 주변국 한국과도 독도 문제로 냉각기를 맞고 있다. 이 뿐만이 아니다. 러시아와는 북방영토 문제로 푸틴 대통령이 방일을 한다 못한다, 코이즈미 수상이 러시아를 간다 못 간다 하는 상황이다.

영토문제와 안보문제를 빌미로 주변국과 의도적인 갈등을 유발시킨 채 국민들에게 그릇된 민족주의를 강요하는 정부와 이를 여과 없이 확대 재생산하여 전하는 매스컴의 2인 3각 경주는 '개~헌' '개~헌'을 외치고 있는 듯이 보이지 않는가.

여기에 우리 정부의 고민이 깊을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 이건 국가와 국가간 외교적 차원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일본 국내적인 문제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는 우리와도 민감하게 부딪히는 군사적 팽창 정책의 일환이라는 점이 다시금 우리 정부의 선택을 어렵게 한다.

이런 이유로 해서 올 한 해, 한·일관계는 쉽게 풀기 힘든 냉각 상태를 지속할 것으로 보여지는데 오히려 이번 기회에 더 꼬고 꽈서 총체적으로 한·일관계를 재점검하고, 한국 내 과거사 청산의 계기로 삼자는 생각이다.

그러나 이와 병행해서 반드시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이에 못지않게 중요한 한가지로 한·일 시민연대의 활성화를 빼 놓을 수가 없다. 다음달부터 불거질 역사 교과서 문제도, 앞서 살펴봤던 개헌을 위한 국민투표도 결국은 국민적 지지와 여론이 중요한 향배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어찌 보면 지금까지의 한·일 시민연대는 한국의 친일·독재정권과 투쟁하는 '한국의 민주화'를 지원 및 후원하는 성격이 강했음이 사실이다. 그러나 지금 우리는 대전환기의 한 가운데에 서 있다. 이제 우리의 시선을 일본으로 돌려보자. 그리고 일본을 주체적 입장에 둔 새로운 한·일 시민연대를 고민하고 실천하자. 그래서 反헌법개정, 反역사왜곡을 막아낼 新한·일 시민연대를 조직하자.

Posted by 강동완(국제정치학 박사)
2002년~2006년/시 사2010. 6. 18. 16:07

중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대일 항의 시위가 심상치 않은 양상으로 치닫는 모습이다. 일본언론에서야 반일시위라며 떠들고 있지만, 그것을 반일(反日)이라고 보기 보다는 항일(抗日)이라는 표현이 더 옳다는 게 내 생각이다. 그런데 일본쪽의 불만은 이만저만이 아닌 듯 싶다.

비록 유리창 몇 개 파손된 것이라고는 하나 일본 영사관이 타격을 당하는데, 중국 공안들은 팔짱을 끼고 구경만하고 있었다는 게 일본 언론과 정부의 불만인 듯 하다. 즉, 중국 당국이 항의 시위를 묵인 내지는 오히려 조장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뉘앙스로 읽힌다.

이는 다시 말해서 3주째 이어지고 있는 중국에서의 이번 항의 시위를 중국 시위대와 일본 정부간의 충돌이 아니라 중국과 일본의 국가간 싸움으로 몰아가려는 의도로 비친다는 것이 솔직한 나의 감상이다.

그래서 폭력으로 치닫고 있는 다소 과격한(?) 형태의 시위에 개인적으로 상당히 우려하고 있다. 왜냐하면 자칫 진실이 진실일 수 있도록 하자는 주변국 주장의 정당성이 일본에 왜곡되어 전달될 수 있고, 심지어는 이를 악용코자 하는 불순한 세력도 있다고 확신하기 때문이다.

요 몇일 일본언론의 헤드라인은 거의가 주변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본에 대한 항의 시위와 관련된 내용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특히, 그 시위 양상이 과격하면 과격할수록 메인 쪽으로 옮겨갈 가능성은 더욱 높다고 할 것이다.

오늘 텔레비전 각 방송사들이 보여주고 있는 아침부터 지금까지의 주요 뉴스 역시 반일시위와 관련된 것들이다. 돌이 날고, 오물이 투척 되고, 진압경찰과의 충돌 장면이 묘한 음악과 함께 사뭇 긴장감을 더하게 한다.

왜 지금 일본에서?

한때 한국에서 땡전 뉴스가 횡횡하던 시절 하루가 멀다 하고 보아오던 영상과 닮아있다 할 것이다. 그래서 우리에게는 별반 새로울 게 없는 모습이기는 하지만, 의아스러운 점은 그런데 왜 지금 일본에서 20년 전 대한민국의 모습을 재현하고 있는가 이다.

이 문제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현 일본 정부의 성격을 제대로 분석해 봐야만 한다. 특히 코이즈미(小泉) 내각의 제1의 목표가 무엇인지부터 파악해보는 것이 급선무라 할 것이다.

4년 전 코이즈미 총리는 정부 수반이 되면서 2가지를 약속했다. 야스쿠니(靖國) 신사참배와 헌법개정이 그것이다. 그러나 야스쿠니 신사참배 문제는 자신의 정치적 기반을 유지하기 위한 정치적 이벤트에 불과한 것이기 때문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이는 외교적 유·불리에 의해 언제든 불참으로 변경 가능한 사안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헌법개정과 관련한 문제는 보다 심각한 초당적·거국적 사안이라는 점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게다가 이 헌법개정 문제는 비단 코이즈미 내각의 제1의 목표일 뿐만 아니라 자민당 50년 역사의 숙원 사업이자 일본 우익세력의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서 코이즈미 총리는 내각 결성을 명 받는 순간부터 - 아니 어쩌면 헌법개정을 전제 조건으로 총리직을 움켜 쥐었을지도 모를 일이지만 - 개헌을 위한 준비 작업을 철저하게 진행시켜 왔고, 드디어 그 결실의 순간을 맞고 있다.

특히 정치권의 개헌 분위기는 아주 만개해 있는 상황이다. 사민당의 몰락과 구자민당 이탈세력이 주도권을 쥐고 있는 제1야당 민주당의 급격한 부상이 개헌꽃을 활짝 피우고 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런데 문제는 역시 국민 투표라 할 것이다. 아무리 정치권의 분위기가 좋다고 해도 개헌의 최종 단계인 국민투표에서 통과되지 못한다면 말짱 도루묵이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미 오래 전부터 대국민 개헌 분위기 만들기에 코이즈미 내각을 비롯한 정치권과 보수우익 세력은 총궐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코이즈미 내각은 주변국과의 의도적인 갈등 조장으로, 정치권은 개헌론의 공론화로, 보수우익 세력은 역사 왜곡으로 철저한 역할분담을 통해 목표 실현에 성큼 다가섰다고 볼 수 있다.

코이즈미 정권의 성격

사실 이번 중국에서의 항의 시위의 배경으로는 일본에 의한 역사왜곡이나 야스쿠니 신사 문제 등 여러가지를 들 수가 있겠으나 그 중에서 가장 큰 역할을 했던 것이 일본의 유엔 상임이사국 진출 문제 아니었나 생각한다.

노무현 대통령의 대일 강경 발언으로 들썩이던 중국 여론에 인터넷을 통해 급속히 확산되어 가던 일본 유엔 상임이사국 반대 서명 운동이 기름을 부은 격이 되었지 싶다.

그런데 여기서 잠시 눈 여겨 봐야 할 것은 사실 일본의 유엔 상임이사국 진출 문제는 헌법개정 문제보다는 하위의 개념이라는 사실이다. 이게 무슨 말인가 하면 코이즈미 내각은 앞서도 이야기 했듯이 내각 구성시부터 개헌을 목표로 태어난 정권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는 점이다.

그리고 유엔 상임이사국 진출 문제나 북일수교 문제, 러시아로부터의 북방영토 반환 문제 등은 아마도 코이즈미 총리의 개인적인 욕심에 의한 사적 추진 사업이었을 것으로 나는 생각한다. 물론 일본 정부 입장에서는 이 세가지 문제들 중 어느 것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다고 할 것이나 그것을 내각의 운명을 걸고 추진하기 위해서는 치밀한 계획과 사전 작업이 필수적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그런데 이들 세 문제는 어느날 갑자기 툭 툭 불거지기 시작해서 별다른 성과 없이 질질 시간만 끌고 있다는 특성을 갖고 있다. 게다가 이슈화 되는 시점 역시 정치적 격변기 내지는 대중적 지지도 회복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코이즈미 총리는 취임초기 80%대를 넘나드는 엄청난 인기를 누리다가 이후 40%대로 곤두박질 치면서 상당한 위기 의식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으며, 이것을 만회할 수 있는 특별책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게 되었다. 개헌이라고 하는 것은 국민적 지지를 얻지 못하면 불가능한 사항인데 떨어지는 지지도는 여간 신경 쓰이는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그래서 궁리해 낸 것이 외교적 업적을 통한 지지도 만회라는 우회 정책이었고, 이는 코이즈미 개인의 명예욕과 맞물려 급속히 세력을 확대하게 된다.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별다른 준비 없이 평양으로 달려갔던 것이고, 북방영토도 시찰을 했고, 유엔 상임이사국에 진출하겠다고 큰소리도 치고 있는 것이다.

경제개혁이나 사회개혁, 정치개혁 등 일본 국내 문제의 해결은 엄청난 국민적 저항 내지는 이탈을 수반한다는 점에서 애초부터 코이즈미 내각의 과제는 아니었다고 봐야 한다. 물론 코이즈미 총리는 코이즈미 개혁을 줄창 강조하고 있지만 그것은 결코 퍼포먼스 이상이 될 수 없음은 코이즈미 개헌 내각이 안고있는 풀 수 없는 숙명이다.

결국 이 모든 것은 헌법 개정을 위한 분위기 조성으로 귀결된다는 사실이다. 일본이 군대를 보유하게 되고, 과거와 같이 전쟁이 가능한 보통의 일반국가가 되는 것. 그것이 내년 상반기까지 예정되어 있는 코이즈미 내각의 과제이며, 이 과제를 완수하고 코이즈미는 물러날 것이다. 그래서 올 해가 더 없이 중요하다고 하는 것이다.

어떤 형태로든 올 해 안에 개헌안이 완성이 되고 내년에는 국민투표를 통한 최종적인 개헌으로 달려갈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벌써부터 슬슬 회자되기 시작하는 국민투표법안을 통한 미디어 통제설이 무얼 의미하는지는 굳이 길게 설명할 필요도 없다.

개헌은 주변국에 대한 약속 파기다

이제 우리 정부도 보다 더 강력하게 일본의 개헌에 분명한 반대 의사를 전달해야 한다. 일각에서는 일본의 헌법 개정 문제를 우리가 거론하고 나서는 것은 자칫 내정 간섭 시비 문제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며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고 하는데, 그것은 사실과 다르다.

우리에게도 일본 헌법을 지켜내야 할 무거운 책임이 있다. 왜냐하면 일본 헌법이 평화헌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었던 이유는 우리나라와 같이 과거에 일본 제국주의로부터 엄청난 희생을 당했던 주변국들의 뼈아픈 과거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 아픔을 다시는 반복하지 않겠다는 주변국에 대한 약속으로 일본은 평화헌법을 만들었고, 50년 가까이 지켜오고 있는 것이다. 바로 이것이 일본헌법 개정을 반대하는 우리의 논리가 될 수 있다. 그렇다면 대안은 무엇인가?

일본이 헌법을 개정하고자 하는 가장 큰 이유가 안보불안에 기인하고 있는 만큼 이것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그래서 다소 실현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할 수도 있겠으나 일본 헌법을 개정하고 군대 보유를 인정하는 대신 일본에 미군이 아닌 연합군을 두는 제도를 기본으로 상정해서 대응할 필요가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하지만 분명히 해 둘 것은 이 제도는 실현 가능성의 유무 보다는 오히려 개헌 저지책으로써의 의의가 더 크다는 사실이다.

지난 글에서 필자가 동아시아조약기구(EATO) 연합군이라고 명명했던 것으로 독일이 앞선 선례로 거론 가능할 것이다.


Posted by 강동완(국제정치학 박사)
2002년~2006년/시 사2010. 6. 18. 16:01

일본 요리우리(読売)신문 국제면에 실린 뉴욕타임즈 기사 두개가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이례적으로 일본 정치인들의 과거사 관련 망언을 강하게 비판하고 있구요. 고이즈미(小泉) 총리의 그릇된 역사인식을 나무라는 요미우리신문 와타나베(渡辺) 회장과의 인터뷰 내용이 실려있기 때문인데요.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13일자 미국 뉴욕타임즈는 야스쿠니(靖国)신사 참배나 식민지 통치를 둘러싼 아소(麻生) 일본 외상의 발언을 통렬하게 비판하는 사설을 게재했다고 합니다.
 
뉴욕타임즈가 문제삼은 아소 외상의 발언은 일본 왕의 야스쿠니신사 참배가 바람직하다고 한 것, 그리고 대만의 교육 수준을 높인 것은 일본의 식민지 정책에 따른 것이다 라고 하는 발언입니다.
 
뉴욕타임즈는 '아시아인들의 분노를 부추기는 깜짝 놀랄만한 발언'이라고 비판하고, 아소 외상은 '외교 감각도 역사 감각도 이상하다'고 평가했습니다.
아소 외상은 14일 국무회의 후에 가진 기자회견에서 '뉴욕타임즈의 사설을 읽어보지 않았기 때문에 할 말이 없다. 비판은 자유다'라고 말했습니다.
 
요미우리신문은 뉴욕타임즈의 이와 같은 비판에 대해
 '일본 정치인들의 역사 인식에 대한 뉴욕타임즈의 비판은 미국의 주요 신문 중에서도 으뜸'이라고 소개하고, '사실 관계에 대해 논란이 있는 문제와 관련해서는 한국이나 중국측 주장을 따르고 있다'라고 불만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뉴욕타임즈는 이날 사설에서도 종군위안부와 남경 사건에 대해서 한국의 젊은 여성들을 대량으로 납치해 성적 노예화했다거나 중국 민간인 수십만 명을 대량 살륙했다고 기술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런가 하면 지난 11일자 뉴욕타임즈는 요미우리신문 와타나베 회장과의 인터뷰 기사를 실었는데요.
 
보수성향의 신문으로 알려진 요미우리신문의 와타나베 회장은 이 인터뷰에서 상당히 전향적인 발언들을 쏟아냈습니다.
 
태평양전쟁에 뛰어든 일본 지도자들의 책임을 일본 스스로가 검증해야 한다며 '과거사 검증 필요성'을 주장하기도 했구요. 또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와 관련해서는 '고이즈미 총리의 무지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야스쿠니신사 참배에 대해서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와타나베 회장의 이와 같은 발언의 배경에는 전쟁을 모르는 세대들 속에서 높아지고 있는 내셔널리즘에 대한 우려, 또 아시아 주변국과의 관계 악화에 대한 염려 때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뉴욕타임즈는 요미우리 신문이 작년 여름부터 '전쟁 책임'을 검증하는 연재 기사 게재를 시작한 것과 야스쿠니신사를 대신하는 무종교 국립 추도 시설의 건립을 사설을 통해 호소한 것도 소개했습니다.
 
미·일 양국을 대표하는 양대 신문의 이와 같은 비판이 일본 사회에 어떻게 받아들여질지 사뭇 궁금해집니다.

고이즈미류와는 또 다른 일본 보수우익들의 진면목을 몇일새 연이어 보고 있는데요. 나카소네(中曽根) 전 총리의 고이즈미 비판 - 나카소네 전 총리는 한 강연에서 이렇게 발언했지요. "총리가 할 일은 총리 자신이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하는 것이 아니라 일본 왕인 천황이 참배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일이다"라고 말이지요.

그러면서 그러한 환경 정비의 일환으로 현재 야스쿠니신사에 합사되어 있는 A급 전범들의 분사를 주장했습니다.
 
사실, 일본 보수세력 입장에서 보면 이 양반 말이 맞아요.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는 이미 나카소네 전 총리가 처음으로 했거든요. 그럼 다음 총리들은 일본 왕의 참배를 고민했어야 하는건데, 자신들의 참배에만 연연해서 쓸데없이 주변국과의 갈등만 부추키고 있거든요. 그러니 나카소네 전 총리의 입장에서 볼 때는 답답할 수 밖에요.
 
그리고 이제 이번에는 와타나베 회장이 나선 것인데요. 고이즈미나 나카소네나 와타나베나 다 그 밥에 그 나물이지만, 사고의 폭이 다르지요. 실리가 뭔지를 알고 있다고나 할까요.
 
그냥 밀어 붙이고 보는 고이즈미류와는 또 다른 면이 있습니다. 뭐, 결국 그들이 만나는 지점은 동일하겠지만서도 말입니다.



 (뉴욕타임즈 기사 원문) Japan's Offensive Foreign Minister 

People everywhere wish they could be proud of every bit of their countries' histories. But honest people understand that's impossible, and wise people appreciate the positive value of acknowledging and learning from painful truths about past misdeeds. Then there is Japan's new foreign minister, Taro Aso, who has been neither honest nor wise in the inflammatory statements he has been making about Japan's disastrous era of militarism, colonialism and war crimes that culminated in the Second World War.
Besides offending neighboring countries that Japan needs as allies and trading partners, he is disserving the people he has been pandering to. World War II ended before most of today's Japanese were born. Yet public discourse in Japan and modern history lessons in its schools have never properly come to terms with the country's responsibility for such terrible events as the mass kidnapping and sexual enslavement of Korean young women, the biological warfare experiments carried out on Chinese cities and helpless prisoners of war, and the sadistic slaughter of hundreds of thousands of Chinese civilians in the city of Nanjing.
That is why so many Asians have been angered by a string of appalling remarks Mr. Aso has made since being named foreign minister last fall. Two of the most recent were his suggestion that Japan's emperor ought to visit the militaristic Yasukuni Shrine, where 14 Japanese war criminals are among those honored, and his claim that Taiwan owes its high educational standards to enlightened Japanese policies during the 50-year occupation that began when Tokyo grabbed the island as war booty from China in 1895. Mr. Aso's later lame efforts to clarify his words left their effect unchanged.
Mr. Aso has also been going out of his way to inflame Japan's already difficult relations with Beijing by characterizing China's long-term military buildup as a "considerable threat" to Japan. China has no recent record of threatening Japan. As the rest of the world knows, it was the other way around. Mr. Aso's sense of diplomacy is as odd as his sense of history.



Posted by 강동완(국제정치학 박사)
2002년~2006년/시 사2010. 6. 18. 15:54

일본 내각부가 발표한 '외교에 관한 여론 조사'에 의하면 한국이나 중국에 대해 친근감을 느낀다 라고 대답한 사람이 전년도에 비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올 해가 한일 우정의 해라는 사실이 무색해지는 조사 결과다.
 
한국에 대해 친근감을 느낀다라고 대답한 사람은 51.1%로 전년보다 5.6%나 떨어졌다. 한국에 대한 호감도는 1996년 이후 계속 증가하다가 2001년에 잠시 감소 한 것 외에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였다. 특히 한류붐의 영향 등으로 2004년도가 과거 최고였고, 올해는 4년 만에 하락으로 돌아선 것이다.
 
한국에 대해 '친밀감을 느끼지 않는다'라고 대답한 사람은 44. 3%였다. 그리고 중국에 대해서는 '친근감을 느낀다'라고 대답한 사람이 32.4%로 역시 과거 최악이었다. 작년보다 5.2% 떨어진 결과다.
 
외교에 관한 여론 조사는 일본 내각부가 1975년부터 계속 해오고 있는 조사로 올해는 전국의 성인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했다.
 
한일관계와 관련해서는 '양호하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한 사람이 39.6%로 작년보다 15.9% 포인트 내려갔다. 한편, 중일관계는 19.7%만이 '양호하다고 생각한다'고 대답했다.
 
이와 같이 일본 국민들이 주변국과의 관계를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 일본 언론들은 독도문제와 교과서 문제, 그리고 중국에서의 반일데모 등을 들고 있다. 특히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 이후 냉각기를 맞고 있는 주변국 관계가 크게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분석들을 하고 있다.
 
하지만 어찌보면 전혀 새로울 것도, 또한 이상할 것도 없는 이야기다. 사실 오늘의 일본 현실에 조금이나마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이런 결과는 아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일 것이기 때문이다. 앞선 일본 언론들의 '그들식 분석'에 더해 빼 놓을 수 없는 것이 점점 심해지고 있는 일본 사회의 우경화 분위기, 그리고 주변국의 반대 의견을 제대로 일본 국민들에게 전달해 주지 못하는 언론의 책임이 크다라는 사실이다.

일본은 왜 평화헌법을 폐기하려 하는가
이토 나리히코 지음, 강동완 옮김 / 행복한책읽기
정가 13,000  판매가 11,700 원   (YES포인트 590원)
교보문고 주간 베스트셀러
 


그뿐 만이 아니다. 이 문제와 관련한 고이즈미 총리의 발언도 한번 곱씹어 보자. 그는 기자단의 질문에 다음과 같이 답변했다. "객관적으로 볼 때, 경제관계 및 인적교류는 전에 없이 깊어지고 있음에서 알 수 있듯이 호감도는 별개의 문제다"
 
'왜?'라고 하는 문제의식을 전혀 느낄 수 없는 전형적인 '고이즈미류'의 물타기식 발언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 바로 이와 같은 논점 흐리기 발언들로 인해 일본 국민들의 눈과 귀는 막혀버렸다고 해도 결코 과언이 아니다.
 
또한 요즘들어 부쩍 언론에 자주 얼굴을 내밀고 있는 단어가 '유사'라는 말이다. '유사시' 또는 '유사법제'라는 식으로 뒷 꼬리를 달고 다니곤 하는데, 이게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 하니 바로 외국으로부터의 침략을 전제로 하는 대국민 '공포 조성용' 용어라는 사실이다.
 
오늘자 신문 기사 하나만 더 인용을 해 보자.
 
일본 정부는 외국으로부터 탄도 미사일 공격이 있을 경우 등에 대비한 국민 보호와 관련해 주민들의 피난 방법을 구체적으로 적시한 '시읍면 국민 보호 모델 계획안'을 발표했는데, 내년 1월에 정식 결정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는 탄도 미사일 공격, 게릴라 및 특수부대의 침공, 상공으로부터의 잠입 등 3종류의 무력 공격을 상정한 피난 매뉴얼로 시읍면은 이 모델 계획을 기초로 내년 말까지 구체적인 피난 계획을 세우도록 한다는 것이다.
 
바로 이게 오늘 일본의 모습이다. 도대체 이 사람들은 정녕 21세기를 살고 있는 게 맞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지금까지 단 한번도 주변국으로부터 침략을 당해본 적이 없는 나라가 주변국으로부터의 침략을 우려해서 유사시를 상정하고 있는 이 뻔뻔함은 이기적인 '기우'에 지나지 않음을 명심해야 할 것이요, 역으로 주변국을 침략해서 막대한 인적·물적·심적 피해를 입힌 불행했던 과거를 갖고 있는 나라가 오히려 주변국을 의심·경계해서 가상의 적으로 몰아대고 있는 가당찮은 작태는  '몰염치'의 극치라고 해야 할 것이다.
 
한마디로 도둑이 제발 저린 꼴이다. 이런 절망적인 사회 분위기 속에서 어찌 일본 민초들이 주변국을 따뜻한 이웃으로 볼 수 있겠는가! 어불성설(語不成說)이란 바로 이를 두고 한 말일게다.




Posted by 강동완(국제정치학 박사)
2002년~2006년/시 사2010. 6. 18. 15:50

시마네(島根)현의 도발적인 '독도 망동'에 이은 고이즈미(小泉) 총리의 '안하무인격' 야스쿠니 신사 참배로 삐걱거리며 위태로운 행보를 거듭하던 한일관계가 고이즈미 총리의 계속되는 억지 발언과 보수 강경파 각료들의 망언으로 급기야 파행을 향해 치닫고 있다. 몇일 남지도 않은 올해가 한일 우정의 해라는 사실이 실로 부끄러워지는 일이다.
 
지난 5일, 고이즈미 총리는 "야스쿠니는 더 이상 외교카드가 될 수 없다"고 전제하고 "한국과 중국이 야스쿠니를 외교 카드로 삼으려는 것은 무리"라고 주장했다. 이에 더해 중국에 대해서는 "비판하는 쪽이 이상한 것"이라며 그의 안일한 현실인식의 일단을 내비쳤다. 그러나 이러한 일본측의 적반하장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아소 타로(麻生太郞) 외무상으로 이어졌다.
 
한두 번이 아닌 계속되는 망언 뒤에 나온 지난 7일, 내외신 기자들을 상대로 했던 기자클럽 연설은 전형적인 보수 우익 강경파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아소 타로 외상은 이날 "중국이나 언론이 지적한다고 해서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그만두는 것은 일국의 총리로서 할 일이 아니며, 그것은 스스로 판단해서 결정해야 하는 문제"라고 주장했다. 게다가 자신은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 중단을 건의할 생각도 없음을 거듭 강조 했다.
 
과거 역사 문제와 관련해서는 "한국과 중국인들에게 안겨준 고통을 겸허하게 받아들이고, 계속 반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하는 한편, "평화를 희구하고 과거의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마음에 거짓이 없다는 것을 허심탄회하게 봐주기 바란다"고 강변했다.
 
또한 야스쿠니 신사 참배 문제를 이유로 정상회담을 거부하고 있는 중국측을 겨냥해서 "지나간 과거가 미래에 장애가 돼서는 안 된다"며 중국측의 자세전환을 재촉하기도 하는 전반하장식 언행도 서슴지 않았다.
 
그러나 한국에 대해서는 "가치관의 기본을 공유하고 있는 든든한 파트너, 아시아의 2대 민주주의 국가"라고 인정했는데, 이는 한국과 중국을 분리해서 대응한다는 일본측의 기본적인 주변국 외교 전략의 일단을 보여주는 발언으로 보여진다.
 
한편, 한국·중국정부 및 주변국 역시 일본 각료를 비롯한 정치 인사들의 그릇된 역사인식과 관련해 심한 불쾌감을 감추지 않고 있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이와 같은 일본측의 '동북아 갈등' 전략이 언제 끝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라는 점이다. 특히, 미국의 재외 미군 재편문제와 맞물리면서 군사력의 보유를 열망하고 있는 보수 우익들의 준동은 극에 달해 있는 상황이고, 그들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순간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여지기 때문이다.
 
바로 그 소기의 목적 한 가운데 위치하고 있는 것이 '평화헌법 개정'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이는 일본 보수 우익 세력의 오랜 염원이기도 하거니와 주일미군 재편 문제는 이것을 더욱 부채질 하고 있다.
 
헌법 개정론자들의 오래된 논리가 바로 '자주 헌법론'이다. 이는 다시 말하면 현재의 평화헌법은 일본을 점령한 연합군 사령부 즉, 맥아더 사령관의 지시(강압)에 의해 만들어진 헌법이기 때문에 자주성을 상실하고 있으므로 자신들의 손에 의해 자신들의 의지를 담은 헌법을 만들어야 한다는 뜻이다.
 
물론, 이와 같은 맥아더 사령관에 의한 '강압론'이 허구라는 사실은 이미 정론이 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분석은 본인이 번역 출판한 이토 나리히코(伊藤 成彦) 선생의 『일본은 왜 평화헌법을 폐기하려 하는가 (원제: 物語日本国憲法第九条)』를 참고하기 바란다.

일본은 왜 평화헌법을 폐기하려 하는가
이토 나리히코 지음, 강동완 옮김 / 행복한책읽기
정가 13,000  판매가 11,700 원   (YES포인트 590원)
교보문고 주간 베스트셀러
 


그러나 나는 헌법 개정론자들 역시 자신들의 진심을 숨기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지 않을 수가 없다. 이들이 진정으로 주장하고 싶은 것은 '자주 헌법론'이 아니며, 이는 단지 명목에 불과할 뿐이라는 사실이다 그들의 진심은 바로 '자주 국방론'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자주 국방론'은 일본 국내외적으로 엄청난 파장을 몰고 올 핵 폭탄급 위력의 폭발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본심을 숨긴 채 '자주 헌법론'으로 포장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이는 현재 진행중인 헌법 개정론의 주된 내용이 자위대를 자위군으로 하는 즉, '군대 보유' 사실을 명확히 하고자 하는 이들의 의도를 통해서도 쉽게 알 수가 있다.
 
또한 주변국과의 갈등 문제를 비롯해 동아시아 공동체 결성에도 미온적인 행태를 보이는 것 역시도 이 '자주 국방론'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자위군으로 대변되는 군사력의 보유 의지는 어딘가에 적이 존재하고 있음을 상정하지 않고는 설득력이 떨어진다. 다시 말해 평화로운 동북아시아는 일본으로 하여금 군사력의 보유를 무의미한 것으로 만들어 버린다.
 
그래서 일본의 보수 우익세력은 냉전시대에는 러시아를, 냉전이 종식된 후에는 중국과 북한을 그들의 가상의 적으로 설정하고 끊임없이 안보 불안을 부채질해 왔다. 그리고 그것은 지금 이 순간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앞서 이야기 되었던 한국과 중국 분리정책을 통한 중국에 대한 적대 · 무시 정책이 그 일례가 된다.
 
이와 같은 한·중 분리정책의 이면에는 김대중 정부 이후 한반도를 녹이고 있는 햇볕정책이 큰 역할을 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남과 북에서 불고 있는 따뜻한 훈풍은 일본 정부로 하여금 전략적 변화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들었는데, 남한이 '북한을 동포요 동족으로 보는 한' 더 이상의 일방적인 북한 때리기는 약효가 떨어진다는 인식이 그것이다.
 
바로 이런 의미에서도 노무현 참여정부의 탄생은 남북 모두에게 천만 다행한 일이었다고 해야 할 것이다. 만약 한나라당을 중심으로 하는 친일 · 수구집단이 정권을 잡고 반북 · 반민족적 행태를 지속했다면 이는 일본 보수 우익세력에게 더없이 좋은 먹이감이 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도 친일을 일삼던 신문이 한국 최대의 언론으로 행세하고 있고, 일본 왕인 천황에게 충성을 맹세한 채 부끄러운 황국신민이 되기를 자청했던 군부 독재자 박정희의 딸이 당당하게 제1 야당의 대표로 군림하고 있다는 사실은 우리 국민들의 미숙한 정치의식을 보여주는 참으로 안타까운 현실이다. 물론 이 모든 것이 망국적 지역주의와 잘못된 선거제도에 기인한 것이기는 하지만, 어찌되었든 일본 보수 우익들에게 조차도 쪽팔리는 일이다.
 
각설하고, 이제는 어떻게 이들과 사귈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찾지 않으면 안 된다. 한 언론보도에 의하면 노무현 대통령께서는 고이즈미 총리의 임기 동안은 정상회담은 없다라는 말씀을 하셨다고 하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기를 바란다.
 
정상회담, 장관회담 다 취소하고 만나지 않으면 속은 시원해서 좋고, 우리들의 화풀이에는 도움이 될지 모르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전혀 득 되는 게 없다. 고이즈미 이후가 고이즈미 보다 나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기가 어려운 것이 현재 일본의 분위기이기 때문이다.
 
나는 앞선 글에서 고이즈미 3기 내각을 분석하면서 이들의 역할 분담을 눈여겨보아야 한다고 말한바 있다. 강경파인 아베 신조(安倍晋三)의 관방장관 기용과 아소 타로(麻生太郞)의 외상으로의 전진 배치, 중도파인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전 관방장관의 후방 배치는 철저한 역할 분담에 의한 후계자 경쟁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아베가 후계자가 되기 위해서는 북한과의 관계 정상화가 제일 큰 과제가 될 것이고, 후쿠다가 후계자가 되기 위해서는 야스쿠니 신사를 대체할 새로운 추도시설의 건립건이 될 것으로 분석한다. 지금까지 보여주고 있는 이들의 행보가 그것을 추측케 한다. 그리고 그 외의 인물(아소 타로 외상이나, 다니가키 사다카즈(谷垣禎一) 재무상)들은 차기가 아니라고 본다.
 
그러나 이와 같은 후계 경쟁 구도를 북한의 김정일 정권 역시 파악하고 있을 것이기 때문에 아베 관방장관의 역할은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을 것이며, 후쿠다 전 관방장관이 다소 유리한 입장에 있다고 볼 수 있으나 이 역시도 장담하기에는 이르다. 후계자 경쟁 관계는 권력투쟁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우리의 역할을 찾아야 한다. 일본 정부 인사들을 분리해서 대응하는 전략을 펼치되, 우리와 함께 할 수 있는 그룹과 적극적인 관계 정상화 및 두터운 신뢰관계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우리의 역량을 총동원해서 이들을 지원하는 전략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즉, 일본내에서 이들의 입지 강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들을 찾아서 함께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물론, 고이즈미 총리를 필두로 한 보수 우익들과의 만남 역시 거절해서는 안되며, 적극적으로 동북아 공동체와 평화·공생을 위한 동북아 건설을 설득해야 한다. 그렇게 간단하게 가능할 동북아 평화 체제였다면 이제까지 60년을 과거사 문제로 허비하지 않았을 것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차기 일본 총리는 후쿠다일 것으로 확신하고 있는데, 현재 후쿠다씨와 함께 하고 있는 사람들의 면면을 보면 그와 같은 확신에 힘을 더해 준다. 그러나 문제는 후쿠다 이후가 우려된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후쿠다 이후의 인물이 아베 관방장관일 수도 있고, 고이즈미 총리의 재등장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국민들에게 민감한 문제인 소비세의 인상과 의료보험 제도의 개혁 등이 고이즈미 이후 차기 정권의 과제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이로 인해 자칫 총선에서의 패배나 총선 전 패색이 짙을 경우 후쿠다는 총리 자리에서 끌어내려질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런 점에서 차기는 차차기를 위한 희생양 정권이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만약 그런 일이 생긴다면 이후 적어도 3년, 길게는 6년, 아니 어쩌면 그 이상을 또 다시 '고이즈미류'의 인물들과 지지고 볶아야 한다.


Posted by 강동완(국제정치학 박사)
2002년~2006년/시 사2010. 6. 18. 15:34

시마네(島根)현의 도발적인 '독도 망동'에 이은 고이즈미(小泉) 총리의 '안하무인격' 야스쿠니 신사 참배로 삐걱거리며 위태로운 행보를 거듭하던 한일관계가 고이즈미 총리의 계속되는 억지 발언과 보수 강경파 각료들의 망언으로 급기야 파행을 향해 치닫고 있다.
 
몇일 남지도 않은 올해가 한일 우정의 해라는 사실이 실로 부끄러워지는 일이다.
 
지난 5일, 고이즈미 총리는 "야스쿠니는 더 이상 외교카드가 될 수 없다"고 전제하고 "한국과 중국이 야스쿠니를 외교 카드로 삼으려는 것은 무리"라고 주장했다. 이에 더해 중국에 대해서는 "비판하는 쪽이 이상한 것"이라며 그의 안일한 현실인식의 일단을 내비쳤다. 그러나 이러한 일본측의 적반하장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아소 타로(麻生太郞) 외무상으로 이어졌다.
 
한두 번이 아닌 계속되는 망언 뒤에 나온 지난 7일, 내외신 기자들을 상대로 했던 기자클럽 연설은 전형적인 보수 우익 강경파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아소 타로 외상은 이날 "중국이나 언론이 지적한다고 해서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그만두는 것은 일국의 총리로서 할 일이 아니며, 그것은 스스로 판단해서 결정해야 하는 문제"라고 주장했다. 게다가 자신은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 중단을 건의할 생각도 없음을 거듭 강조 했다.
 
과거 역사 문제와 관련해서는 "한국과 중국인들에게 안겨준 고통을 겸허하게 받아들이고, 계속 반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하는 한편, "평화를 희구하고 과거의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마음에 거짓이 없다는 것을 허심탄회하게 봐주기 바란다"고 강변했다.
 
또한 야스쿠니 신사 참배 문제를 이유로 정상회담을 거부하고 있는 중국측을 겨냥해서 "지나간 과거가 미래에 장애가 돼서는 안 된다"며 중국측의 자세전환을 재촉하기도 하는 전반하장식 언행도 서슴지 않았다.
 
그러나 한국에 대해서는 "가치관의 기본을 공유하고 있는 든든한 파트너, 아시아의 2대 민주주의 국가"라고 인정했는데, 이는 한국과 중국을 분리해서 대응한다는 일본측의 기본적인 주변국 외교 전략의 일단을 보여주는 발언으로 보여진다.
 
한편, 한국·중국정부 및 주변국 역시 일본 각료를 비롯한 정치 인사들의 그릇된 역사인식과 관련해 심한 불쾌감을 감추지 않고 있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이와 같은 일본측의 '동북아 갈등' 전략이 언제 끝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라는 점이다. 특히, 미국의 재외 미군 재편문제와 맞물리면서 군사력의 보유를 열망하고 있는 보수 우익들의 준동은 극에 달해 있는 상황이고, 그들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순간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여지기 때문이다.
 
바로 그 소기의 목적 한 가운데 위치하고 있는 것이 '평화헌법 개정'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이는 일본 보수 우익 세력의 오랜 염원이기도 하거니와 주일미군 재편 문제는 이것을 더욱 부채질 하고 있다.
 
헌법 개정론자들의 오래된 논리가 바로 '자주 헌법론'이다. 이는 다시 말하면 현재의 평화헌법은 일본을 점령한 연합군 사령부 즉, 맥아더 사령관의 지시(강압)에 의해 만들어진 헌법이기 때문에 자주성을 상실하고 있으므로 자신들의 손에 의해 자신들의 의지를 담은 헌법을 만들어야 한다는 뜻이다.
 
물론, 이와 같은 맥아더 사령관에 의한 '강압론'이 허구라는 사실은 이미 정론이 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분석은 본인이 번역 출판한 이토 나리히코(伊藤 成彦) 선생의 『일본 헌법 제9조를 통해서 본 또 하나의 일본 (원제: 物語日本国憲法第九条)』을 참고하기 바란다.

 


그러나 나는 헌법 개정론자들 역시 자신들의 진심을 숨기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지 않을 수가 없다. 이들이 진정으로 주장하고 싶은 것은 '자주 헌법론'이 아니며, 이는 단지 명목에 불과할 뿐이라는 사실이다 그들의 진심은 바로 '자주 국방론'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자주 국방론'은 일본 국내외적으로 엄청난 파장을 몰고 올 핵 폭탄급 위력의 폭발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본심을 숨긴 채 '자주 헌법론'으로 포장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이는 현재 진행중인 헌법 개정론의 주된 내용이 자위대를 자위군으로 하는 즉, '군대 보유' 사실을 명확히 하고자 하는 이들의 의도를 통해서도 쉽게 알 수가 있다.
 
또한 주변국과의 갈등 문제를 비롯해 동아시아 공동체 결성에도 미온적인 행태를 보이는 것 역시도 이 '자주 국방론'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자위군으로 대변되는 군사력의 보유 의지는 어딘가에 적이 존재하고 있음을 상정하지 않고는 설득력이 떨어진다. 다시 말해 평화로운 동북아시아는 일본으로 하여금 군사력의 보유를 무의미한 것으로 만들어 버린다.
 
그래서 일본의 보수 우익세력은 냉전시대에는 러시아를, 냉전이 종식된 후에는 중국과 북한을 그들의 가상의 적으로 설정하고 끊임없이 안보 불안을 부채질해 왔다. 그리고 그것은 지금 이 순간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앞서 이야기 되었던 한국과 중국 분리정책을 통한 중국에 대한 적대·무시 정책이 그 일례가 된다.
 
이와 같은 한·중 분리정책의 이면에는 김대중 정부 이후 한반도를 녹이고 있는 햇볕정책이 큰 역할을 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남과 북에서 불고 있는 따뜻한 훈풍은 일본 정부로 하여금 전략적 변화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들었는데, 남한이 '북한을 동포요 동족으로 보는 한' 더 이상의 일방적인 북한 때리기는 약효가 떨어진다는 인식이 그것이다.
 
바로 이런 의미에서도 노무현 참여정부의 탄생은 남북 모두에게 천만 다행한 일이었다고 해야 할 것이다. 만약 한나라당을 중심으로 하는 친일·수구집단이 정권을 잡고 반북·반민족적 행태를 지속했다면 이는 일본 보수 우익세력에게 더없이 좋은 먹이감이 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도 친일을 일삼던 신문이 한국 최대의 언론으로 행세하고 있고, 일본 왕인 천황에게 충성을 맹세한 채 부끄러운 황국신민이 되기를 자청했던 군부 독재자 박정희의 딸이 당당하게 제1 야당의 대표로 군림하고 있다는 사실은 우리 국민들의 미숙한 정치의식을 보여주는 참으로 안타까운 현실이다. 물론 이 모든 것이 망국적 지역주의와 잘못된 선거제도에 기인한 것이기는 하지만, 어찌되었든 일본 보수 우익들에게 조차도 쪽팔리는 일이다.
 
각설하고, 이제는 어떻게 이들과 사귈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찾지 않으면 안 된다. 한 언론보도에 의하면 노무현 대통령께서는 고이즈미 총리의 임기 동안은 정상회담은 없다라는 말씀을 하셨다고 하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기를 바란다.
 
정상회담, 장관회담 다 취소하고 만나지 않으면 속은 시원해서 좋고, 우리들의 화풀이에는 도움이 될지 모르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전혀 득 되는 게 없다. 고이즈미 이후가 고이즈미 보다 나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기가 어려운 것이 현재 일본의 분위기이기 때문이다.
 
나는 앞선 글에서 고이즈미 3기 내각을 분석하면서 이들의 역할 분담을 눈여겨보아야 한다고 말한바 있다. 강경파인 아베 신조(安倍晋三)의 관방장관 기용과 아소 타로(麻生太郞)의 외상으로의 전진 배치, 중도파인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전 관방장관의 후방 배치는 철저한 역할 분담에 의한 후계자 경쟁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아베가 후계자가 되기 위해서는 북한과의 관계 정상화가 제일 큰 과제가 될 것이고, 후쿠다가 후계자가 되기 위해서는 야스쿠니 신사를 대체할 새로운 추도시설의 건립건이 될 것으로 분석한다. 지금까지 보여주고 있는 이들의 행보가 그것을 추측케 한다. 그리고 그 외의 인물(아소 타로 외상이나, 다니가키 사다카즈(谷垣禎一) 재무상)들은 차기가 아니라고 본다.
 
그러나 이와 같은 후계 경쟁 구도를 북한의 김정일 정권 역시 파악하고 있을 것이기 때문에 아베 관방장관의 역할은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을 것이며, 후쿠다 전 관방장관이 다소 유리한 입장에 있다고 볼 수 있으나 이 역시도 장담하기에는 이르다. 후계자 경쟁 관계는 권력투쟁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우리의 역할을 찾아야 한다. 일본 정부 인사들을 분리해서 대응하는 전략을 펼치되, 우리와 함께 할 수 있는 그룹과 적극적인 관계 정상화 및 두터운 신뢰관계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우리의 역량을 총동원해서 이들을 지원하는 전략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즉, 일본내에서 이들의 입지 강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들을 찾아서 함께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물론, 고이즈미 총리를 필두로 한 보수 우익들과의 만남 역시 거절해서는 안되며, 적극적으로 동북아 공동체와 평화·공생을 위한 동북아 건설을 설득해야 한다. 그렇게 간단하게 가능할 동북아 평화 체제였다면 이제까지 60년을 과거사 문제로 허비하지 않았을 것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차기 일본 총리는 후쿠다일 것으로 확신하고 있는데, 현재 후쿠다씨와 함께 하고 있는 사람들의 면면을 보면 그와 같은 확신에 힘을 더해 준다. 그러나 문제는 후쿠다 이후가 우려된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후쿠다 이후의 인물이 아베 관방장관일 수도 있고, 고이즈미 총리의 재등장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국민들에게 민감한 문제인 소비세의 인상과 의료보험 제도의 개혁 등이 고이즈미 이후 차기 정권의 과제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이로 인해 자칫 총선에서의 패배나 총선 전 패색이 짙을 경우 후쿠다는 총리 자리에서 끌어내려질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런 점에서 차기는 차차기를 위한 희생양 정권이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만약 그런 일이 생긴다면 이후 적어도 3년, 길게는 6년, 아니 어쩌면 그 이상을 또 다시 '고이즈미류'의 인물들과 지지고 볶아야 한다.

Posted by 강동완(국제정치학 박사)
2002년~2006년/시 사2010. 6. 18. 14:57

니가타현의 강진과 계속 이어지는 여진이 일본사회를 충격 속에 몰아 넣고 있는 중에 이번에는 이라크에서의 일본인 납치사건이 발생해 한층 충격을 더해 주고 있다.

 

재해예방 선진국답게 발빠른 대응을 하고 있는 일본이지만 지진이든 납치사건이든 어느 것 하나 쉽게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데 일본정부의 고민이 깊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일본인 납치사건의 경위와 앞으로의 전망 등을 문답식으로 풀어보고자 한다.

 

1. 고다씨는 어떤 인물이며, 왜 이라크에?

 

현재까지 고다씨의 신분과 관련해서는 일본언론 역시 확실하게 밝히지를 못하고 있다.

 

우선, 알려진 사실은 고다씨는 후쿠오카현 출신으로 24살이라는 사실이다. 프리카메라멘 이라는 정보도 있었고, 사건발표 직후 일본언론에서는 자위대와 관련된 인물로 보도를 하기도 했었으나 일본정부 관계자에 의해 사실과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또 일설에?단순한 여행자라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어서 일본정부 역시도 신분파악에 주력하고 있다고 한다.

 

주변사람들의 이야기에 의하면 뉴질랜드나 오스트랄리아에서 홈스테이를 하고 싶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또 요르단에서 활동했던 일본 NGO 관계자 역시 고다씨의 존재를 알지 못하는 점 등을 들어서 여행자 신분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하고 있다.

 

그리고 고다씨가 이라크에 들어간 이유도 아직은 분명치가 않은데, 이라크로 출발하기 전에 머물렀던, 암만의 호텔 지배인에 의하면 '이라크에서 무슨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알고 싶다' 라고 말한 것이 전부라고 한다.

 

2. 일본정부의 대책?

 

니가타 지진 피해복구에 정신이 없는 일본정부로서도 굉장히 충격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고이즈미 일본총리는 테러에 굴할 수 없다라며, 자위대의 철군불가 방침을 밝혔다.

 

일본 정부는 관방장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인질사건대책본부'를 설치하고 외무성 부대신을 요르단 암만으로 보내서 현지대책본부를 지휘하도록 했다고 한다.

 

또한 마치무라 외무상은 어제 카타르의 알-자지라 방송의 취재에 응해서 자위대의 파견은 인도적인 차원에서 현지의 부흥지원을 위한 것이지 전투가 목적이 아님을 강조하고 인질의 무사 석방을 촉구했다.

 

일본경찰청은 국제터러리즘긴급전개반을 암만으로 급파해서 무장조직과 석방협상을 위한 준비에 들어갔고, 바그다드 주재 일본 대사관은 이라크 임시정부에 무장조직 관련 정보의 제공과 현지 종교지도자들의 중재도 요청하고 있는 것으로 언론들이 전하고 있다.

 

일본 대사관은 향후 일본인과 일본관련 시설이 테러의 표적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이라크에 입국하는 것을 금지하고 현지에 체재 중인 일본인의 즉시대피를 권고하고 있다고 한다.

 

3. 철군불가에 대한 언론의 반응?

 

고이즈미 총리의 철군불가 발언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기 때문에 일본언론 역시 특별한 반응을 보이고 있지는 않다. 아직 사건이 어떻게 풀릴지를 알 수 없기 때문 아닐까 싶다. 또한 우리와는 사뭇 다른 사회 분위기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한국에서는 노무현 대통령의 철군불가 발표가 나왔을 때 엄청난 사회적 저항 운동이 있었지만, 아직 일본에서는 그러나 움직임을 찾아볼 수가 없기 때문이다. 언론보도에 의하면 200명 정도의 시민운동가들이 총리 공관 앞에서 자위대 철수 촉구 시위를 벌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그 세력은 미약한 실정이다.

 

일본 언론들은 지난 4월에 있었던 일본 NGO 단체 회원들의 무사귀환 때와는 다르지 않을까 라는 조심스런 반응을 보이고 있다.

 

당시에는 수니파 종교지도자들을 중재자로 해서 인질단체와 협상을 벌였었지만 이번에는 외인 출신이 주축이 된 알카에다 무장세력으로 알려져 있어서 지역 종교계와 관계가 깊지 않고, 또 종교지도자의 권위도 그다지 높지 않을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또한 시기적으로도 아주 안 좋은 시점이라는 것이다. 미국의 대통령 선거와 내년 초에 있을 자국 내 선거를 의식해 무장그룹들이 상당히 과격한 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이라크 내에 150명 정도가 납치되어 있고 그 중에 30여 명이 살해되었다고 하는데, 납치 대상 또한 미국에 협조적인 국가의 국민은 말할 것도 없고 아랍계 국민들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한다.

 

4. 철군불가에 대한 시민여론은?

 

앞서도 이야기 했듯이 고이즈미 총리의 철군불가 발표에 별다른 반응은 없는 것 같고, 앞으로도 특별한 저항 움직임은 기대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지난번 납치사건 때와 마찬가지로 일본정부 일각에서 '자기책임론' 역시 불거지고 있으나 그때나 지금이나 이를 당연시 하는 사회분위기 아닌가 싶다. 국민 개개인의 자기중심주의가 국가와 국민의 관계마저도 부정하는 결과를 만들어 가고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감도 든다.

 

국가는 단 한 사람의 국민이라도 보호하고 안전을 지켜줘야 할 의무가 있는 것 아닌가? 이를 애써 무시하고 있는 일본 국민들의 속마음을 나 역시 알고 싶다.

 

5. 일본사회의 분위기

 

후쿠오카현 고다씨의 자택 근처의 주민들이나 고다씨가 다녔던 중고등학교 동급생들 역시 고다씨의 무사귀환을 바라고 있다고 언론이 전하고 있다. 그러나 주민들이나 동급생들 역시 고다씨가 이라크에 들어갔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다들 놀라고 있다고 한다.

 

고다씨는 프로 권투선수를 목표로 고등학교를 중퇴했고, 또 최근에는 뉴질랜드나 오스트랄리아에서 홈스테이를 하고 싶다고 말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고다씨가 왜 이라크엘 갔는지 다들 의아해 하는 분위기라는 것이다.

 

물론 지난 4월에 2차례에 걸쳐 인질로 붙잡혔던 일본인 5명이 무사히 석방된 기억이 있어서 이번에도 그렇게 되기를 바라는 분위기지만, 이번에는 상당히 힘들 것으로 보고 있다.

 

당시에는 이라크 종교지도자들이 구출협상을 적극 중재했었고, 또 무장조직이 과격한 세력이 아니었던 데다가 피랍자들이 모두 이라크를 위해 활동했던 시민운동가들이었기 때문에 무사히 석방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무장조직이 어떤 성격의 세력인지, 고다 씨가 어떤 이유에서 이라크로 들어갔는지 전혀 파악이 안 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런 것들이 이번 사건 해결의 변수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일본정부 역시도 굉장히 어려운 상황이라고 보이는데, 현 시점에서 사건 해결의 실마리가 될 정보도 없고, 무장그룹과의 접촉도 되지 않는 상황인 것으로 언론들이 전하고 있다.

 

또한 며칠 전 아사히신문 여론조사에 의하면 일본 국민들의 약 67%가 자위대의 이라크 파견기간 연장에 반대한다고 답했었다. 일본정부로서는 엎친데 덮친 격 아닐까 싶다.

 

 

Posted by 강동완(국제정치학 박사)
2002년~2006년/시 사2010. 6. 18. 14:49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 문제를 둘러싼 한국과 중국 등 주변국의 반발은 이미 새삼스러운 게 아니다. 이 문제로 인해 중일관계는 최악의 상황으로 내몰려 있고, 우리와도 상당히 불편한 관계에 있다. 특히 이번 달로 예정되어 있던 한일간 정상회담 역시 여느니 마느니 하면서 한동안 설왕설래하다가 결국은 오는 20일 서울에서 열기로 합의한 것으로 한일 양국 정부가 어제 발표했다.
 
이처럼 고이즈미 총리의 신사참배 문제가 일본과 주변국간 갈등의 원인으로 표출되는 이유는 일본 총리의 신사참배를 바라보는 일본과 주변국의 시선이 다르기 때문이다.
 
고이즈미 총리은 누차 강조하고 있듯이 자신의 야스쿠니 참배는 일본 총리의 자격으로서가 아니라 고이즈미 개인 자격으로서의 참배라는 것이다. 역시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 참배에 찬성하고 있는 일본 보수우익들의 일반적인 시각도 이와 비슷하다. 참고로 최근 여론조사에 의하면 총리의 야스쿠니 참배를 바라보는 국민들의 시각도 많이 보수화 된 듯이 보인다. 참배 반대 여론이 줄어들고 참배에 찬성하는 여론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 사실이 이를 잘 말해준다.
 
그러나 주변국, 한국이나 중국의 시각은 이와는 정반대이다.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 참배는 개인 자격이 아니라 총리 자격으로서의 참배라는 인식이다.
 
야스쿠니신사 참배 무엇이 문제인가?
 
우선 잘 알려져 있다시피 야스쿠니신사에는 A급 전범들의 위패가 다수 보관되어 있다. 바로 이런 사실로 인해 주변국 및 일본내의 양심세력은 총리의 참배를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 만이 총리의 참배를 반대하는 이유의 전부가 아니라 야스쿠니신사로 대표되는 일본의 종교적 관습에 관한 역사적 사실이 더해진다.
 
야스쿠니신사는 서울 동작동에 있는 국립 현충원과 같은 추도시설이나 국립묘지 성격의 시설물이 아니라는 점이다. 야스쿠니는 일본의 오래된 종교적 관습에 의거한 일종의 종교시설물에 해당한다. 이러한 종교적인 관습으로 대표되는 존재를 신도라고 하는데, 특히 제2차 세계대전 전에 이 신도라는 종교 관습은 일본의 군국주의자들이 적극적으로 지지 · 장려하면서 신도와 국가의 일체화에 의해 국교처럼 되었으며, 타 종교에 대한 무자비한 탄압을 통한 종교 말살 정책조차 서슴지 않았고, 더 나아가 일본 군국주의의 거대한 정신적 지주로까지 발전하였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고이즈미 총리의 신사참배는 일본 헌법 제20조에 규정된 정교분리 원칙에도 위배된다. 고이즈미 총리는 평범한 시민도 아닌 공직자의 신분이고, 신사참배를 갈 때 이용하는 차량 역시 공직자이기 때문에 이용 가능한 관용차라는 점이다. 즉 일본국민의 세금으로 특정한 종교시설을 방문, 참배하고 있음이 명백한 사실이다. 그뿐 만이 아니다. 방명록에다가 자신의 공식 직함인 내각총리대신 고이즈미 준이치로라고 당당하게 기재했다.
 
결론적으로 야스쿠니신사가 갖고 있는 역사적 문제에 더해서 일본 헌법상으로 보더라도 고이즈미 총리의 신사참배는 일본헌법 제20조, 정교분리 원칙 위반이라는 사실을 지적할 수 있다.
 
일본 왕이었던 쇼와 천황의 야스쿠니 참배도 사적 행위
 
또한 전후에 행해졌던 일본 왕, 쇼와 천황의 야스쿠니 신사참배의 성격을 묻는 야당의원의 질문에 일본 정부는 개인 자격으로서의 참배였다고 지난 14일 답변했다.
 
일본 왕이었던 쇼와 천황은 전후인 1945년부터 1975년까지 총 8번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했다. 이를 두고 일본 정부의 입장은 사적 참배라는 것인데, 그 이유 중의 하나는 참배할 당시에 참배금(시주돈)을 자신의 생활비로 지출했기 때문이라고 답변했다.
 
그리고 고이즈미 총리가 혹시 현재의 일본 왕인 헤이세이 천황에게 야스쿠니 참배를 진언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고이즈미 총리는 다른 누구에게도 참배를 권장하거나 진언한 일은 없다고 답변한 것으로 언론은 전하고 있다.
 
 
정상회담은 예정대로 진행되어야 한다
 
무산 혹은 연기 가능성까지 제기됐던 한일정상회담이 오는 20일 서울에서 개최된다고 일본 언론들도 일제히 보도를 했다.
 
이달 20일로 예정되어 있던 한일 정상회담은 앞서 살펴본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 문제와 더불어 시마네현의 ‘다케시마의 날’ 제정 문제, 역사교과서 왜곡 문제 등이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한 상태에서 최근에는 나카야마 문부과학상의 종군위안부 망언 등이 이어지면서 무산될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특히 나카야마 문부과학상은 자신의 종군위안부 관련 망언에 대해서 호소다 관방장관이 사과 성명을 발표한 것을 부정해서 파문이 일기도 했다. 호소다 관방장관은 이 문제와 관련해서 14일 오후 기자회견을 통해 “장관간담회에서 나카야마씨가 ‘나의 발언으로 폐를 끼친 것에 사과 말씀을 드립니다’라고 이야기 했다”고 소개를 했다. 그런데 나카야마 문부과학상은 ‘그런 말은 하지 않았다’라고 부정해서 발언의 진위 여부를 놓고 혼란이 가시지 않고 있다.
 
한편 일본 언론은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고이즈미 총리가 강제징용자의 유골 반환, 한국에 거주중인 원폭피해자의 지원, 사할린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 지원책 등을 준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외에도 역사교과서를 제2기 역사공동연구위원회 연구대상에 포함시킬 것임을 시사하기도 했다.
 
무엇을 말할 것인가?
 
지난 14일 노무현 대통령께서는 3부 요인과 여·야 당 대표를 초청한 청와대 오찬에서 “한일 정상회담을 할 것인지 말 것인지, 한다면 어떤 주제로 할지 결정되지 않아 고심하고 있다” “협상은 유연한 자세도 필요하지만, 때로는 막고 품듯이 밀어붙이는 것도 중요하다”라는 요지의 말씀을 하셨다. 지당하신 말씀이다.
 
그런데 최근 들어 한국 정부의 대일외교를 놓고 말들이 많다. 갈등만을 부추키는 아마추어식 외교라는 비난에서부터 동북아 균형론 같은 설익은 찐빵만을 양산해 내고 있다는 지적까지 온갖 것들이 난무하고 있지만 정작 중요한 대안은 별로 없다.
 
이유는 우리만을 보기 때문이다. 외교는 분명 우리와 상대가 함께 만들어 내는 공동의 작품이다. 그런데 우리만을 보고 딴지를 거니 항상 현실과는 빗나가는 삽질만 해대는 꼴이 되고 만다. 보자. 올해가 한일국교 수립 40주년이 되는 해이다. 그런데 어떤가? 40년 전이나 지금이나 다람쥐 쳇바퀴처럼 독도문제, 과거사문제는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 같은 존재다. 좋은 게 좋다는 식의 임시방편적 정책, 친일로 작심한 한심한 무리들의 문제 봉합적 매국 행태로 그 순간만을 넘겨가며 40년을 버텨왔기 때문이다.
 
갈등 없이 해결 없다. 앞으로 40년 뒤에도 지금처럼 한일관계가 독도문제와 과거사문제로 발목을 잡히지 않기 위해서라도 오늘의 갈등을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필요하다면 갈등을 만들어서라도 해결할 것은 해결하고 가야 한다.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갈등의 원인과 해결책을 분명하게 짚어 줘야 한다.
 
왜 그래야 하는지 참 한심한 사례 하나만 소개 하도록 하겠다. 일본에서 꽤나 유명하다는 텔레비전 토론 프로그램이 있다. 그 프로그램에는 유명세에 걸맞게 꽤나 유명하고 다소 진보적(?)이라고 하는 사회자를 필두로 여·야 정치인, 대학교수, 평론가 등 역시 꽤나 유명한 저명 인사들이 10여명 초대되어 토론을 벌인다.
 
프로그램의 성격상 동북아 문제와 미일관계가 주된 논제로 다루어진다. 지난달 토론에서였을 것이다. 한일관계가 잠시 언급이 되면서 한국 정부의 대일관계가 도마 위에 오른 적이 있다. 그런데 그 유명하다고 하는 인사들이 한국 정부의 대일외교에 대해서 너무도 모르고 있더라는 사실이다.
 
사회자가 물었다. '한국 정부의 입장을 제대로 모르겠다. 노무현 대통령은 지나간 과거사를 자신의 임기 중에는 거론하지 않겠다고 하더니 이제는 지나간 과거사를 이유로 한일관계를 갈등으로 몰아가고 있다. 이유가 뭔가?' 대충 이런 뉘앙스의 질문이었다.
 
그러자 다른 패널들도 이에 공감을 표시하며, ‘글쎄 말이다’ ‘ 나 또한 궁금하다’ ‘한국 국내 문제를 외교에…’ 역시 이런류의 대답으로 얼버무리며 넘어가더라는 것이다. 결국은 '그것이 알고 싶다'라는 것인데, 우리나라 중학생조차도 알고 있는 그 이유를 일반 국민들도 아닌 일본 최고의 지성들이라고 하는 그들이 정말 모르고 있더라는 사실에 난 엄청난 충격을 먹었다.
 
앞서 이야기했던 대일외교를 놓고 딴지 거는 분들에게 다음과 같은 말을 전해주고 싶다. 우리의 수준으로 이들을 보지 말라. 우리가 알고 있다고 이들도 알고 있을 것으로 생각하지 말라.
 
한일 정상회담. 안 하면 안 된다. 반드시 해야 한다. 그러나 좋은 게 좋다는 식의 대충 대충 넘어가기여서는 절대 안 된다. 설사 갈등이 생기더라도 풀 것은 반드시 풀고 가야 한다. 그리고 갈등의 이유는 찬찬히, 자세하게, 조목조목 일본 총리 및 관계자 그리고 일본 국민들에게 설명해 줘야 한다. 잘 알아 먹도록.



Posted by 강동완(국제정치학 박사)